"신기한 인도수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번째 줄: | 1번째 줄: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이 항목의 수학노트 원문주소</h5>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이 항목의 수학노트 원문주소</h5> | ||
− | + | * [[신기한 인도수학]] | |
79번째 줄: | 79번째 줄: | ||
* [http://ko.wikipedia.org/wiki/%EC%B9%B4%EB%9D%BC%EC%B6%94%EB%B0%94_%EC%95%8C%EA%B3%A0%EB%A6%AC%EC%A6%98 http://ko.wikipedia.org/wiki/카라추바_알고리즘] | * [http://ko.wikipedia.org/wiki/%EC%B9%B4%EB%9D%BC%EC%B6%94%EB%B0%94_%EC%95%8C%EA%B3%A0%EB%A6%AC%EC%A6%98 http://ko.wikipedia.org/wiki/카라추바_알고리즘] | ||
− | * http:// | + | * http://en.wikipedia.org/wiki/Karatsuba_algorithm |
* http://en.wikipedia.org/wiki/ | * http://en.wikipedia.org/wiki/ | ||
* [http://eom.springer.de/default.htm The Online Encyclopaedia of Mathematics] | * [http://eom.springer.de/default.htm The Online Encyclopaedia of Mathematics] |
2011년 12월 22일 (목) 18:55 판
이 항목의 수학노트 원문주소
개요
- '신기한 인도수학' '인도식 수학계산' 이라는 이름으로 다음과 같은 짤방이 돌아다님
[/pages/9239950/attachments/5520588 223074275.jpg]
해설
- 항등식 \((100-x)(100-y)=100(100-(x+y))+xy\) 을 통하여 이해할 수 있음
- 두 자연수 x,y의 곱이 100보다 작은 경우, 곱셈 (100-x)(100-y) 을 쉽게 쓸 수 있게 된다
테이블
[/pages/9239950/attachments/5520628 신기한_인도_수학.gif]
역사
메모
- Math Overflow http://mathoverflow.net/search?q=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사전 형태의 자료
- http://ko.wikipedia.org/wiki/카라추바_알고리즘
- http://en.wikipedia.org/wiki/Karatsuba_algorithm
- http://en.wikipedia.org/wiki/
- The Online Encyclopaedia of Mathematics
- NIST Digital Library of Mathematical Functions
- The World of Mathematical Equations
리뷰논문, 에세이, 강의노트
관련기사
- 네이버 뉴스 검색 (키워드 수정)
관련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