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러의 소수생성다항식 x²+x+4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6번째 줄: 6번째 줄:
 
* 이 성질은 이차수체의 class number 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위의 다항식의 근으로 생성되는, 이차수체는 모두 class number가 1이 된다.
 
* 이 성질은 이차수체의 class number 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위의 다항식의 근으로 생성되는, 이차수체는 모두 class number가 1이 된다.
 
* <math>\mathbb{Z}\[\frac{-1+\sqrt{-7}}{2}\]</math> ,<math>\mathbb{Z}\[\frac{-1+\sqrt{-11}}{2}\]</math>, <math>\mathbb{Z}\[\frac{-1+\sqrt{-19}}{2}\]</math>, <math>\mathbb{Z}\[\frac{-1+\sqrt{-43}}{2}\]</math>, <math>\mathbb{Z}\[\frac{-1+\sqrt{-67}}{2}\]</math> ,<math>\mathbb{Z}\[\frac{-1+\sqrt{-163}}{2}\]</math>가 모두 UFD 라는 사실과 동치이다.
 
* <math>\mathbb{Z}\[\frac{-1+\sqrt{-7}}{2}\]</math> ,<math>\mathbb{Z}\[\frac{-1+\sqrt{-11}}{2}\]</math>, <math>\mathbb{Z}\[\frac{-1+\sqrt{-19}}{2}\]</math>, <math>\mathbb{Z}\[\frac{-1+\sqrt{-43}}{2}\]</math>, <math>\mathbb{Z}\[\frac{-1+\sqrt{-67}}{2}\]</math> ,<math>\mathbb{Z}\[\frac{-1+\sqrt{-163}}{2}\]</math>가 모두 UFD 라는 사실과 동치이다.
 +
 +
 
 +
 +
 
 +
 +
 
  
 
 
 
 
47번째 줄: 53번째 줄:
 
* [[이차 수체(quadratic number fields) 의 정수론]]
 
* [[이차 수체(quadratic number fields) 의 정수론]]
 
* [[가우스의 class number one 문제|Binary integral quadratic forms and Gauss' class number one problem]]
 
* [[가우스의 class number one 문제|Binary integral quadratic forms and Gauss' class number one problem]]
 +
 +
 
 +
 +
 
 +
 +
<h5>사전형태의 참고자료</h5>
 +
 +
* http://en.wikipedia.org/wiki/Formula_for_primes#Prime_formulas_and_polynomial_functions
 +
* http://en.wikipedia.org/wiki/Class_number_one_problem
 +
* http://en.wikipedia.org/wiki/Heegner_number
  
 
 
 
 
59번째 줄: 75번째 줄:
 
 
 
 
  
<h5>관련논무</h5>
+
<h5>관련논문</h5>
  
 
* [http://www.jstor.org/stable/2312478 An Elementary Analysis of an Integral Quadratic Form]<br>
 
* [http://www.jstor.org/stable/2312478 An Elementary Analysis of an Integral Quadratic Form]<br>
71번째 줄: 87번째 줄:
 
** [http://bomber0.byus.net/index.php/2007/01/14/333 숫자 163 (3)][http://bomber0.byus.net/index.php/2007/01/21/336 ]
 
** [http://bomber0.byus.net/index.php/2007/01/14/333 숫자 163 (3)][http://bomber0.byus.net/index.php/2007/01/21/336 ]
 
** [http://bomber0.byus.net/index.php/2007/01/21/336 숫자 163 (4)]
 
** [http://bomber0.byus.net/index.php/2007/01/21/336 숫자 163 (4)]
 
 
 
 
<h5>사전형태의 ㅏㅊㅁ</h5>
 
 
* http://en.wikipedia.org/wiki/Formula_for_primes#Prime_formulas_and_polynomial_functions
 
* http://en.wikipedia.org/wiki/Class_number_one_problem
 
* http://en.wikipedia.org/wiki/Heegner_number
 

2010년 1월 2일 (토) 04:26 판

간단한 소개
  • \(x^2+x+41\)는 정수 \(0 \le x \le 39\) 일때, 모두 소수가 된다!!!
  • 비슷한 예로, 아래는 정수 \(0\le x\le q-2\) 일 때, \(x^2+x+q\)가 모두 소수인 경우
  • \(x^2+x+2\), \(x^2+x+3\), \(x^2+x+5\), \(x^2+x+11\), \(x^2+x+17\)
  • 이 성질은 이차수체의 class number 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위의 다항식의 근으로 생성되는, 이차수체는 모두 class number가 1이 된다.
  • \(\mathbb{Z}'"`UNIQ-MathJax1-QINU`"'\) ,\(\mathbb{Z}'"`UNIQ-MathJax2-QINU`"'\), \(\mathbb{Z}'"`UNIQ-MathJax3-QINU`"'\), \(\mathbb{Z}'"`UNIQ-MathJax4-QINU`"'\), \(\mathbb{Z}'"`UNIQ-MathJax5-QINU`"'\) ,\(\mathbb{Z}'"`UNIQ-MathJax6-QINU`"'\)가 모두 UFD 라는 사실과 동치이다.

 

 

 

 

 

UFD와의 관계

정수의 집합 \(\mathbb{Z}=\{\dots, -3, -2, -1, 0, 1, 2, 3, \dots\}\)으로 다시 돌아갑시다. 정수의 성질에 대해 연구하는(?) 수학의 분야인 정수론의 유명한 고전인 G.H.Hardy와 E.M.Wright의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umbers“ 의 첫번째 정리는 “모든 1이 아닌 양의 정수는 소수들의 곱으로 쓰여진다” 입니다. 그리고 두번째 정리는 바로 “정수를 그렇게 소수들의 곱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유일하다”입니다. 너무나도 자명하여, 이게 정리인지 아닌지조차 헷갈릴 정도입니다. 그러나 이 두번째 정리에는 “The Fundamental Theorem of Arithmetic”이라고 하는 멋진 이름이 붙어 있습니다. “산술의 기본 정리”라고 하면 될까요. 이렇게 그 안의 수들이 소수들로 유일하게 분해될 때, 수학자들은 그 녀석을 UFD(Unique Factorization Domain) 라고 부릅니다. “산술의 기본 정리”를 다른 말로 표현하면 “\(\mathbb{Z}\)는 UFD 이다” 가 되겠습니다. 그럼 이제 이 당연해 보이는 사실이 왜 자명하지 않은지에 대해 한번 이해를 해 볼 차례입니다.

이제 \(\mathbb{Z}\)가 아닌 \(\mathbb{Z}'"`UNIQ-MathJax7-QINU`"'=\{a+b\sqrt{-5} \: : \: a,b \in \mathbb{Z}\}\)라는 집합을 생각해 봅시다. 이 녀석 역시 정수처럼 더하기 곱하기가 그 안에서 잘 성립합니다. 가령, \(1+\sqrt{-5}\)과 \(2-\sqrt{-5}\) 를 곱한다고 해 봅시다.

\((1+\sqrt{-5})(2-\sqrt{-5})=2+(2-1)\sqrt{-5}-(-5)=7+\sqrt{-5}\)

한 집합에서 두 녀석을 뽑아서 곱했더니, 여전히 같은 집합에 있다는 것이 제가 곱하기가 잘 성립한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이제 \(1+\sqrt{-5}\)과 \(1-\sqrt{-5}\) 를 곱해봅시다. 계산을 해 보면, 6을 얻게 됩니다. 2와 3을 곱해도 6을 얻게 됩니다.
그런데 사실, \(\mathbb{Z}'"`UNIQ-MathJax8-QINU`"'\) 안에서, \(1+\sqrt{-5}, 1-\sqrt{-5}, 2,3\) 은 모두 소수 역할을 하는 녀석들입니다. 즉, 저 녀석들을 다른 수들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6은 적어도 두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소수들로 쪼개진다! 이 결과가 말하는 것은 바로 “\(\mathbb{Z}'"`UNIQ-MathJax9-QINU`"'\) 는 UFD 가 아니다” 라는 것입니다.

자 이제 매우 중요한 결과를 하나 언급 해야겠습니다.
\(x=0,1,2,\cdots, 39\) 일때, \(f(x)=x^2+x+41\) 는 소수라는 사실은, \(\mathbb{Z}'"`UNIQ-MathJax10-QINU`"'=\{a+b \cdot \frac {-1+\sqrt{-163}} {2} \: : \: a,b \in \mathbb{Z}\}\)이 UFD 라는 사실과 동치입니다. 이 사실은 이제 그냥 맘 편히 받아들이시면 되겠습니다.

 

 

관련된 학부 과목과 미리 알고 있으면 좋은 것들

 

관련된 대학원 과목

 

관련된 다른 주제들

 

 

사전형태의 참고자료

 

표준적인 도서 및 추천도서

 

관련논문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