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다면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7번째 줄: 7번째 줄:
 
** 정팔면체
 
** 정팔면체
 
** 정십이면체
 
** 정십이면체
** 정이십면체
+
** 정이십면체다면체<br> 그림점 <em>V</em>선 <em>E</em>면 <em>F</em><em>V-E+F</em>한점에서의 외각 <em>A</em>외각의 총합 <em>V × A</em>정사면체[[|Tetrahedron]]
 
+
4644-6+4=2<math>2\pi-3\times\frac{\pi}{3}=\pi</math><math>4\times\pi=4\pi</math>정육면체[[|Hexahedron (cube)]]
 
+
81268-12+6=2<math>2\pi-3\times\frac{\pi}{2}=\frac{\pi}{2}</math><math>8\times\frac{\pi}{2}=4\pi</math>정팔면체[[|Octahedron]]
 +
61286-12+8=2<math>2\pi-4\times\frac{\pi}{3}=\frac{2\pi}{3}</math><math>6\times\frac{2\pi}{3}=4\pi</math>정십이면체[[|Dodecahedron]]
 +
20301220-30+12=2<math>2\pi-3\times\frac{3\pi}{5}=\frac{\pi}{5}</math><math>20\times\frac{\pi}{5}=4\pi</math>정이십면체[[|Icosahedron]]
 +
12302012-30+20=2<math>2\pi-5\times\frac{\pi}{3}=\frac{\pi}{3}</math><math>12\times\frac{\pi}{3}=4\pi</math>
 +
*  
  
 
 
 
 

2009년 5월 8일 (금) 06:50 판

간단한 소개
  • 볼록 다면체 중에서 모든 면이 합동인 정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꼭지점에서 만나는 면의 개수가 같은 도형

  • 다섯개만이 존재
    • 정사면체
    • 정육면체
    • 정팔면체
    • 정십이면체
    • 정이십면체다면체
      그림점 VEFV-E+F한점에서의 외각 A외각의 총합 V × A정사면체[[|Tetrahedron]]

4644-6+4=2\(2\pi-3\times\frac{\pi}{3}=\pi\)\(4\times\pi=4\pi\)정육면체[[|Hexahedron (cube)]] 81268-12+6=2\(2\pi-3\times\frac{\pi}{2}=\frac{\pi}{2}\)\(8\times\frac{\pi}{2}=4\pi\)정팔면체[[|Octahedron]] 61286-12+8=2\(2\pi-4\times\frac{\pi}{3}=\frac{2\pi}{3}\)\(6\times\frac{2\pi}{3}=4\pi\)정십이면체[[|Dodecahedron]] 20301220-30+12=2\(2\pi-3\times\frac{3\pi}{5}=\frac{\pi}{5}\)\(20\times\frac{\pi}{5}=4\pi\)정이십면체[[|Icosahedron]] 12302012-30+20=2\(2\pi-5\times\frac{\pi}{3}=\frac{\pi}{3}\)\(12\times\frac{\pi}{3}=4\pi\)

  •  

 

분류에 대한 기하학적 증명

 

 

 

오일러의 정리를 사용하는 증명

(증명)

정다면체가 F개의 정p각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꼭지점점에서 q개가 만난다고 하자.

꼭지점의 개수는

\(V = \frac{pF}{q}\)

변의 개수는

\(E = \frac{pF}{2}\)

여기서

\(n = qV = pF = 2E\) 로 두자.

오일러의 정리로부터,

\(2pq\times (V-E+F) = 2pq\times 2\)

\(2pn - pqn + 2qn= 4 pq\)

\(2pn + 2qn= 4 pq + pqn\)

양변을 \(2pqn\) 으로 나누면,

\(\frac{1}{q} + \frac{1}{p}= \frac{2}{n} + \frac{1}{2}\)

\(\frac{1}{p} + \frac{1}{q} > \frac{1}{2}\)

부등식을 풀면, \(\{3, 3\}, \{4, 3\},\{3, 4\},\{5, 3\},\{3,5\}\) 다섯개의 해를 얻는다.

 

 

플라톤과 정다면체

플라톤은 티마이오스에서, 우주가 4가지의 원소로 구성되어 있다고 했다. 불;공기;물 그리고 땅이 그것이다.
정다면체를 영어로 Platonic Solids 라고 한다. 플라톤이 직접 이것을 발견한 것은 아니었지만, 이렇게 플라톤의 이름이 여기에 붙게 된 것은 아마도, 플라톤이 위의 티마이오스에서, 각각의 원소를 각각의 정다면체에 대응시켜 놓았기 때문일 것이다. 불=정사면체, 공기=정팔면체, 물=정이십면체, 땅=정육면체 그리고 하나 남은 정십이면체는 우주전체이다.

 

 

 

케플러와 정다면체

케플러는 행성의 운동에 대한 여러가지 가설들을 만들고 테스트했는데, 그 중에 재밌는 것이 있다. 케플러의 시대만 하더라도, 알려진 행성이 여섯개였다고 한다.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이 바로 그것들이다. 여기서 케플러는 정다면체가 다섯개밖에 없다는 사실을 우연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먼저 큰 구를 하나 가져온다. 토성의 궤도가 이 구에 놓인다. 그 다음 그 구에 내접하는 정육면체를 그리고, 다시 정육면체에 내접하는 구를 그린다. 이 구에 목성의 궤도가 놓인다. 그 다음 구에 내접하는 정사면체와 정사면체에 내접하는 구를 그린다. 이 구에 화성의 궤도가 놓인다. 그 다음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 마지막으로 정팔면체를 그려나가면서, 지구, 금성, 수성의 궤도를 만들어 간다. 케플러는 정다면체가 다섯개밖에 없다는 사실이 여섯개의 행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설명할 것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아마도 그는 관측결과를 바탕으로 행성운동에 대한 법칙을 세울 줄 알았던 위대한 과학자였으므로, 곧 관측 결과들이 궤도의 거리들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을 곧 깨달았을 것이다. 물론 나중에 천왕성이 발견됨으로써, 그의 이론은 산산조각이 났다.

 

 

 

 

 

 

하위주제들

 

 

 

하위페이지

 

 

재미있는 사실

 

관련된 단원

 

 

많이 나오는 질문

 

관련된 고교수학 또는 대학수학

 

 

관련된 다른 주제들

 

관련도서 및 추천도서

 

 

참고할만한 자료

 

 

관련기사

 

 

 

 

이미지 검색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