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화쌍 (우애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 Pythagoras0 (토론 | 기여) 잔글 (찾아 바꾸기 – “<h5>” 문자열을 “==” 문자열로) | Pythagoras0 (토론 | 기여)  잔글 (찾아 바꾸기 – “</h5>” 문자열을 “==” 문자열로)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 
| *   | *   |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간단한 소개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간단한 소개== | 
| * 두 자연수의 쌍이, 어느 한 수의 진약수를 모두 더하면 다른 수가 될 때 두 수를 친화쌍(우애수)이라 함 | * 두 자연수의 쌍이, 어느 한 수의 진약수를 모두 더하면 다른 수가 될 때 두 수를 친화쌍(우애수)이라 함 |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 − | ==재미있는 사실 | + | ==재미있는 사실==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 − | ==역사 | + | ==역사== | 
| * [[수학사연표 (역사)|수학사연표]] | * [[수학사연표 (역사)|수학사연표]] | ||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 − | ==관련된 항목들 | + | ==관련된 항목들== | 
| 38번째 줄: | 38번째 줄: | ||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수학용어번역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수학용어번역== | 
| * http://www.google.com/dictionary?langpair=en|ko&q= | * http://www.google.com/dictionary?langpair=en|ko&q= | ||
| 49번째 줄: | 49번째 줄: | ||
| − | ==사전 형태의 자료 | + | ==사전 형태의 자료== | 
| * [http://ko.wikipedia.org/wiki/%EC%9A%B0%EC%95%A0%EC%88%98 http://ko.wikipedia.org/wiki/우애수] | * [http://ko.wikipedia.org/wiki/%EC%9A%B0%EC%95%A0%EC%88%98 http://ko.wikipedia.org/wiki/우애수] | ||
| 62번째 줄: | 62번째 줄: | ||
| − | ==관련논문 | + | ==관련논문== | 
| * http://www.jstor.org/action/doBasicSearch?Query= | * http://www.jstor.org/action/doBasicSearch?Query= | ||
| 70번째 줄: | 70번째 줄: | ||
| − | ==관련도서 및 추천도서 | + | ==관련도서 및 추천도서== | 
| *  도서내검색<br> | *  도서내검색<br> | ||
| 84번째 줄: | 84번째 줄: | ||
| − | ==관련기사 | + | ==관련기사== | 
| *  네이버 뉴스 검색 (키워드 수정)<br> | *  네이버 뉴스 검색 (키워드 수정)<br> | ||
| 95번째 줄: | 95번째 줄: | ||
| − | ==블로그 | + | ==블로그== | 
| * http://www.mathlove.org/pds/materials/stories/number.html | * http://www.mathlove.org/pds/materials/stories/number.html | ||
2012년 11월 1일 (목) 14:05 판
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  
간단한 소개==
- 두 자연수의 쌍이, 어느 한 수의 진약수를 모두 더하면 다른 수가 될 때 두 수를 친화쌍(우애수)이라 함
- 작은 숫자들의 예
 (220, 284), (1184, 1210), (2620, 2924), (5020, 5564), (6232, 6368)
 
재미있는 사실
 
 
 
역사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사전 형태의 자료
- http://ko.wikipedia.org/wiki/우애수
- http://en.wikipedia.org/wiki/Amicable_number
- http://en.wikipedia.org/wiki/
- http://mathworld.wolfram.com/AmicablePair.html
- The On-Line Encyclopedia of Integer Sequences
 
 
 
관련논문
 
 
관련도서 및 추천도서
- 도서내검색
 
- 도서검색
 
 
 
관련기사
- 네이버 뉴스 검색 (키워드 수정)
 
 
 
블로그
- 두 자연수의 쌍이, 어느 한 수의 진약수를 모두 더하면 다른 수가 될 때 두 수를 친화쌍(우애수)이라 함
- 작은 숫자들의 예
 (220, 284), (1184, 1210), (2620, 2924), (5020, 5564), (6232, 6368)
사전 형태의 자료
- http://ko.wikipedia.org/wiki/우애수
- http://en.wikipedia.org/wiki/Amicable_number
- http://en.wikipedia.org/wiki/
- http://mathworld.wolfram.com/AmicablePair.html
- The On-Line Encyclopedia of Integer Sequences
 
관련논문
관련도서 및 추천도서
- 도서내검색
 
- 도서검색
 
관련기사
- 네이버 뉴스 검색 (키워드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