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체에 이르는 길(로저 펜로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 실수<br> | * 실수<br> | ||
** p-adic number 를 안다면, 실수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 ** p-adic number 를 안다면, 실수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 ||
+ | * 정수와 반입자<br> | ||
+ | ** In fact, according to 20th-century physics, there is now a certain sense in which it is meaningful to refer to a negative number of physical entities. | ||
+ | * 유리수와 물리의 관계는 아직 unclear |
2012년 6월 13일 (수) 23:30 판
http://scienceon.hani.co.kr/archives/13582
preface
- 분수와 equivalence class 의 예
1 The roots of science
- the main thrust of this book has to do with the first of these mysteries: the remarkabl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nd the actual behaviour of the physical world.
2 An ancient theorem and a modern question
- 피타고라스 정리
- 곡면의 미분기하학과 리만기하학
- * homogeneity (every point the same) and isotropy (every direction the same),
3 Kinds of number in the physical world
- 실수
- p-adic number 를 안다면, 실수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 정수와 반입자
- In fact, according to 20th-century physics, there is now a certain sense in which it is meaningful to refer to a negative number of physical entities.
- 유리수와 물리의 관계는 아직 uncl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