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케플러-쿨롱 시스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8번째 줄: 8번째 줄:
 
$$
 
$$
 
여기서 $p=|\mathbf{p}|,q=|\mathbf{q}|$
 
여기서 $p=|\mathbf{p}|,q=|\mathbf{q}|$
* 보존량
+
* 보존량 : 에너지 $H_0$, 각운동량 $\mathbf{G}$, 룽게-렌츠 벡터 $\mathbf{E}$
 
$$
 
$$
 
\begin{aligned}
 
\begin{aligned}
32번째 줄: 32번째 줄: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 https://docs.google.com/file/d/0B8XXo8Tve1cxTG9TSVdTYk8zdDg/edit
 
* https://docs.google.com/file/d/0B8XXo8Tve1cxTG9TSVdTYk8zdDg/edit
 +
 +
 +
==수학용어번역==
 +
* {{forvo|url=Runge}}
 +
* {{forvo|url=Lenz}}
 +
  
  

2014년 10월 17일 (금) 17:24 판

개요

  • 행성운동을 기술하는 해밀토니안 시스템
  • 고전역학에서의 적분가능 모형의 예
  • $\mathbf{p}=(p_1,p_2,p_3), \mathbf{q}=(q_1,q_2,q_3)$
  • 해밀토니안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H_0(\mathbf{q},\mathbf{p})=\frac{1}{2}p^2-\frac{1}{q}=\frac{1}{2} \left(p_1^2+p_2^2+p_3^2\right)-\frac{1}{\sqrt{q_1^2+q_2^2+q_3^2}} $$ 여기서 $p=|\mathbf{p}|,q=|\mathbf{q}|$

  • 보존량 : 에너지 $H_0$, 각운동량 $\mathbf{G}$, 룽게-렌츠 벡터 $\mathbf{E}$

$$ \begin{aligned} H_0 &=\frac{1}{2} \left(p_1^2+p_2^2+p_3^2\right)-\frac{1}{\sqrt{q_1^2+q_2^2+q_3^2}} \\ \mathbf{G}&=\mathbf{q}\times \mathbf{p}=(p_3 q_2-p_2 q_3,p_1 q_3-p_3 q_1,p_2 q_1-p_1 q_2) \\ \mathbf{E}&=\mathbf{p}\times \mathbf{G}-\frac{\mathbf{q}}{q}\\ &=(p_2^2 q_1-p_1 p_2 q_2+p_3^2 q_1-p_1 p_3 q_3-\frac{q_1}{\sqrt{q_1^2+q_2^2+q_3^2}},p_1^2 q_2-p_2 p_1 q_1+p_3^2 q_2-p_2 p_3 q_3-\frac{q_2}{\sqrt{q_1^2+q_2^2+q_3^2}},p_1^2 q_3-p_3 p_1 q_1-p_2 p_3 q_2+p_2^2 q_3-\frac{q_3}{\sqrt{q_1^2+q_2^2+q_3^2}}) \end{aligned} $$

  • 보존량 사이에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

$$ \mathbf{G}\cdot\mathbf{E}=0 \\ E^2-1=2H_0G^2 $$


메모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수학용어번역

  • Runge - 발음사전 Forvo
  • Lenz - 발음사전 Forvo


리뷰, 에세이, 강의노트


사전 형태의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