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수와 초월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7번째 줄: 27번째 줄:
 
<h5>베이커의 정리</h5>
 
<h5>베이커의 정리</h5>
  
 
+
* [[베이커의 정리]]<br>
  
 
 
 
 
101번째 줄: 101번째 줄:
 
** http://www.amazon.com/s/ref=nb_ss_gw?url=search-alias%3Dstripbooks&field-keywords=
 
** http://www.amazon.com/s/ref=nb_ss_gw?url=search-alias%3Dstripbooks&field-keywords=
 
** http://book.daum.net/search/mainSearch.do?query=
 
** http://book.daum.net/search/mainSearch.do?query=
 +
 +
 
  
 
 
 
 
109번째 줄: 111번째 줄:
 
** Dirk Huylebrouck
 
** Dirk Huylebrouck
 
**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Vol. 108, March 2001 pp. 222-231
 
**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Vol. 108, March 2001 pp. 222-231
 
 
* [http://www.math.sc.edu/~filaseta/gradcourses/Math785/main785.html Transcendental number theory]<br>
 
* [http://www.math.sc.edu/~filaseta/gradcourses/Math785/main785.html Transcendental number theory]<br>
 
** Michael Filaseta
 
** Michael Filaseta
120번째 줄: 121번째 줄:
 
* [http://ko.wikipedia.org/wiki/%EC%B4%88%EC%9B%94%EC%88%98 http://ko.wikipedia.org/wiki/초월수]
 
* [http://ko.wikipedia.org/wiki/%EC%B4%88%EC%9B%94%EC%88%98 http://ko.wikipedia.org/wiki/초월수]
 
* http://en.wikipedia.org/wiki/Gelfond-Schneider_theorem
 
* http://en.wikipedia.org/wiki/Gelfond-Schneider_theorem
*  
 
 
* http://www.wolframalpha.com/input/?i=
 
* http://www.wolframalpha.com/input/?i=
 
* http://front.math.ucdavis.edu/search?a=&t=&c=&n=40&s=Listings&q=
 
* http://front.math.ucdavis.edu/search?a=&t=&c=&n=40&s=Listings&q=

2009년 9월 19일 (토) 12:50 판

간단한 소개
  • 복소수 중에서 어떠한 유리수 계수방정식도 만족시킬 수 없는 수를 초월수라 함
    • 유리수 계수방정식은 적당한 정수를 곱하여 다음과 같은 형태의 정수계수방정식으로 표현할 수도 있음.
      \(a_n x^n + a_{n-1} x^{n-1} + a_{n-2} x^{n-2} + \cdots + a_1 x + a_0 = 0, a_i \in \mathbb{Z}\)
    • 복소수 중에서 어떠한 정수계수방정식도 만족시킬 수 없는 수를 초월수라 해도 무방
  • 대수적수론 에 비해 훨씬 어렵고, 체계적인 이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음.

 

 

린데만-바이어슈트라스 정리

 

겔폰드-슈나이더 정리

 

 

베이커의 정리

 

상위 주제

 

 

 

하위페이지

 

 

재미있는 사실

 

 

많이 나오는 질문과 답변

 

관련된 고교수학 또는 대학수학

 

관련된 다른 주제들

 

 

관련도서 및 추천도서

 

 

참고할만한 자료

 

관련기사

 

 

블로그

 

이미지 검색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