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Pythagoras0 (토론 | 기여)   |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개요==  | |
| − | *  하나의 원소로 생성될 수 있는 군을 순환군(cyclic group)이라 함. 즉 모든 원소가 한 원소의 적당한 정수제곱으로 표현가능한 경우를 말함.  | + | *  하나의 원소로 생성될 수 있는 군을 순환군(cyclic group)이라 함. 즉 모든 원소가 한 원소의 적당한 정수제곱으로 표현가능한 경우를 말함.  | 
| − | ** <math>(\mathbb Z,+)</math> 의 경우는 1로 모든 원소를 생성가능.  | + | ** <math>(\mathbb Z,+)</math> 의 경우는 1로 모든 원소를 생성가능하므로, 순환군임.  | 
| + | ** 2차원 평면의 정n각형에 대한 n개의 회전변환은 순환군임.  | ||
| + | ** <math>z^n=1</math> 를 만족시키는 n개의 복소수들은 곱셈에 대하여 순환군이 됨  | ||
| + | *** <math>\zeta=e^{2\pi i \over n}</math> 으로 생성가능.  | ||
| + | ** <math>(\mathbb{Z}/n\mathbb{Z},+)</math> 는 순환군임  | ||
| + | ** <math>(\mathbb{Z}/n\mathbb{Z})^\times</math> 가 순환군이 되는 경우는 [[원시근(primitive root)]] 항목을 참조  | ||
| − | + | ||
| − | + | ||
| − | + | ||
| − | + | ==순환군의 부분군==  | |
| − | + | (정리) 순환군의 모든 부분군은 순환군이다.  | |
| − | + | ||
| − | + | (증명)  | |
| − | |||
| − | + | H 가 G의 부분군이라고 하자.  a는 G의 생성원이라고 하자.  | |
| − | + | G의 원소는 <math>\cdots, a^{-1},a^{-1},a^{0}, a^1,a^2,\cdots</math>  | |
| − | <  | + | 따라서 각각의 원소에 이 지수를 정의할 수 있다. (<math>\log_a g</math> 로 생각할 수 있음)  | 
| − | + | 항등원을 제외한 H의 원소중에서 이 지수의 값이 양수이며, 가장 작은 원소가 존재한다. 이 값을 <math>d</math> 로 두자.  | |
| − | + | H의 원소 <math>a^k</math> 에 대하여,  <math>k=dq+r, 0\leq r < d</math> 를 사용하면, <math>a^k=a^{dq}a^r=(a^d)^q a^r</math> 형태로 쓸 수 있다.  | |
| − | <  | + | H는 부분군이므로,  <math>a^r=(a^d)^{-q}a^k</math> 는 H의 원소이다. <math>d</math>의 정의에 따라, <math>r</math> 은 0이어야 한다.  | 
| − | + | 그러므로, 모든 H의 원소는 <math>a^d</math> 로 생성가능하다. ■  | |
| − | + | ||
| − | + | ||
| − | + | ==메모==  | |
| − | |||
| − | + | ||
| − | + | * Math Overflow http://mathoverflow.net/search?q=  | |
| − | + | ||
| − | + | ||
| − | + | ==관련된 항목들==  | |
| + | * [[유한생성 아벨군의 기본정리]]  | ||
| + | * [[순환군과 유한아벨군의 표현론]]  | ||
| − | |||
| − | + | ||
| − | + | ==사전형태의 자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http://ko.wikipedia.org/wiki/%EC%88%9C%ED%99%98%EA%B5%B0 http://ko.wikipedia.org/wiki/순환군]  | * [http://ko.wikipedia.org/wiki/%EC%88%9C%ED%99%98%EA%B5%B0 http://ko.wikipedia.org/wiki/순환군]  | ||
* http://en.wikipedia.org/wiki/Cyclic_groups  | * http://en.wikipedia.org/wiki/Cyclic_groups  | ||
* http://viswiki.com/en/Cyclic_groups  | * http://viswiki.com/en/Cyclic_groups  | ||
| − | + | [[분류: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메타데이터==  | 
| + | ===위키데이터===  | ||
| + | * ID :  [https://www.wikidata.org/wiki/Q245462 Q245462]  | ||
| + | ===Spacy 패턴 목록===  | ||
| + | * [{'LOWER': 'cyclic'}, {'LEMMA': 'group'}]  | ||
| + | * [{'LEMMA': 'ℤ/nℤ'}]  | ||
| + | * [{'LEMMA': 'ℤn'}]  | ||
| + | * [{'LOWER': 'monogenous'}, {'LEMMA': 'group'}]  | ||
2021년 2월 17일 (수) 04:49 기준 최신판
개요
- 하나의 원소로 생성될 수 있는 군을 순환군(cyclic group)이라 함. 즉 모든 원소가 한 원소의 적당한 정수제곱으로 표현가능한 경우를 말함.
- \((\mathbb Z,+)\) 의 경우는 1로 모든 원소를 생성가능하므로, 순환군임.
 - 2차원 평면의 정n각형에 대한 n개의 회전변환은 순환군임.
 - \(z^n=1\) 를 만족시키는 n개의 복소수들은 곱셈에 대하여 순환군이 됨
- \(\zeta=e^{2\pi i \over n}\) 으로 생성가능.
 
 - \((\mathbb{Z}/n\mathbb{Z},+)\) 는 순환군임
 - \((\mathbb{Z}/n\mathbb{Z})^\times\) 가 순환군이 되는 경우는 원시근(primitive root) 항목을 참조
 
 
 
 
 
순환군의 부분군
(정리) 순환군의 모든 부분군은 순환군이다.
 
(증명)
H 가 G의 부분군이라고 하자. a는 G의 생성원이라고 하자.
G의 원소는 \(\cdots, a^{-1},a^{-1},a^{0}, a^1,a^2,\cdots\)
따라서 각각의 원소에 이 지수를 정의할 수 있다. (\(\log_a g\) 로 생각할 수 있음)
항등원을 제외한 H의 원소중에서 이 지수의 값이 양수이며, 가장 작은 원소가 존재한다. 이 값을 \(d\) 로 두자.
H의 원소 \(a^k\) 에 대하여, \(k=dq+r, 0\leq r < d\) 를 사용하면, \(a^k=a^{dq}a^r=(a^d)^q a^r\) 형태로 쓸 수 있다.
H는 부분군이므로, \(a^r=(a^d)^{-q}a^k\) 는 H의 원소이다. \(d\)의 정의에 따라, \(r\) 은 0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모든 H의 원소는 \(a^d\) 로 생성가능하다. ■
 
 
메모
- Math Overflow http://mathoverflow.net/search?q=
 
 
 
관련된 항목들
사전형태의 자료
- http://ko.wikipedia.org/wiki/순환군
 - http://en.wikipedia.org/wiki/Cyclic_groups
 - http://viswiki.com/en/Cyclic_groups
 
메타데이터
위키데이터
- ID : Q245462
 
Spacy 패턴 목록
- [{'LOWER': 'cyclic'}, {'LEMMA': 'group'}]
 - [{'LEMMA': 'ℤ/nℤ'}]
 - [{'LEMMA': 'ℤn'}]
 - [{'LOWER': 'monogenous'}, {'LEMMA':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