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원함수론 입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공부에는 유비(analogy)적인 생각이 매우 유용하다. 
+
공부에는 유비(analogy)적인 생각이 매우 유용하다.  
  
 
무리함수적분 사인함수 원의 발견
 
무리함수적분 사인함수 원의 발견
5번째 줄: 5번째 줄:
 
<math>\int_0^P{\frac{1}{\sqrt{1-z^2}}}dz</math>
 
<math>\int_0^P{\frac{1}{\sqrt{1-z^2}}}dz</math>
  
 
+
  
 
이 함수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적어도 세 가지를 이해해야 한다.
 
이 함수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적어도 세 가지를 이해해야 한다.
  
 
+
  
 
첫번째
 
첫번째
  
<math>\frac{1}{\sqrt{1-z^2}}</math> 는 어떤 공간에 정의된 함수인가? 이것은 2 sheeted 리만 곡면에 정의된 함수이다.
+
<math>\frac{1}{\sqrt{1-z^2}}</math> 어떤 공간에 정의된 함수인가? 이것은 2 sheeted 리만 곡면에 정의된 함수이다.
  
 
+
  
 
두번째
 
두번째
  
<math>\int_0^P{\frac{1}{\sqrt{1-z^2}}}dz</math> 는 그럼 또 어떤 공간에 정의된 함수인가?
+
<math>\int_0^P{\frac{1}{\sqrt{1-z^2}}}dz</math> 그럼 또 어떤 공간에 정의된 함수인가?
  
P 역시 2 sheeted 리만 곡면에서 정의되어 있다. 다만 이 값은 경로에 의존할 것이다. 
+
P 역시 2 sheeted 리만 곡면에서 정의되어 있다. 다만 이 값은 경로에 의존할 것이다.  
  
한가지 달라지는 것은 P는 무한대 점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
한가지 달라지는 것은 P는 무한대 점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
  
 
세번째
 
세번째
31번째 줄: 31번째 줄:
 
이 함수의 공역은 무엇인가?
 
이 함수의 공역은 무엇인가?
  
 
+
  
 
+
  
 
+
  
 
<math>\int_0^x{\frac{1}{\sqrt{1-x^2}}}dx+\int_0^y{\frac{1}{\sqrt{1-x^2}}}dx=\int_0^{x\sqrt{1-y^2}+y\sqrt{1-x^2}}{\frac{1}{\sqrt{1-x^2}}}dx</math>
 
<math>\int_0^x{\frac{1}{\sqrt{1-x^2}}}dx+\int_0^y{\frac{1}{\sqrt{1-x^2}}}dx=\int_0^{x\sqrt{1-y^2}+y\sqrt{1-x^2}}{\frac{1}{\sqrt{1-x^2}}}dx</math>
43번째 줄: 43번째 줄:
 
<math>\sin\left(x+y\right)=\sin x\cos y +\cos x \sin y</math>
 
<math>\sin\left(x+y\right)=\sin x\cos y +\cos x \sin y</math>
  
 
+
  
이렇게 정의역과 공역을 명확하게 하려는 노력에서 일차적으로 리만곡면이 발견되었고, 아벨-자코비의 이론이 싹트게 된다. 
+
이렇게 정의역과 공역을 명확하게 하려는 노력에서 일차적으로 리만곡면이 발견되었고, 아벨-자코비의 이론이 싹트게 된다.  
  
 
+
  
 
+
  
 
타원적분 타원함수 토러스의 발견
 
타원적분 타원함수 토러스의 발견
  
 
+
  
 
+
  
복소함수와 브랜치컷
+
복소함수와 브랜치컷
  
하나의 브랜치가 고정되었다고 하자.  
+
하나의 브랜치가 고정되었다고 하자.
  
 
<math>w=f(z)</math>
 
<math>w=f(z)</math>
  
<math>(z,w)</math> 는 리만곡면의 하나의 점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
<math>(z,w)</math> 리만곡면의 하나의 점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
[[분류:수학노트()]]
 
+
[[분류:migrate]]
 
 
 
 
 
 
 
 
 
 
 <math>\int R(x,\sqrt{ax^2+bx+c})\,dx</math> 형태의 적분이 주어져 있을때, 이러한 삼각치환들이 잘 되는 이유는 '이차곡선은 유리함수로 매개화 가능' 하기 때문이다. 
 
 
 
즉, <math>y^2=ax^2+bx+c</math> 라는 곡선을, 유리함수 <math>f,g</math>를 사용하여 <math>x=f(t), y=g(t)</math> 형태로 매개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매개화가 왜 되는지는, 나중에 다시 쓰도록 하자. 
 
 
 
 
 
 
 
그러면 루트 안에 들어가는 차수가 높아지는  <math>\int \frac{dx}{\sqrt{1-x^4}}</math> 와 같은 경우([[렘니스케이트(lemniscate) 곡선의 길이와 타원적분|lemniscate 곡선의 길이와 타원적분]])는 어떨까? 
 
 
 
<math>y^2=1-x^4</math> 를 유리함수로 매개화할 수 있다면,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지 않을까?
 
 
 
하지만 애석하게도 그러한 유리함수로의 매개화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적분이 바로 19세기의 수학계를 뜨겁게 달구었던 타원적분이다. 
 
 
 
<br>
 

2020년 12월 28일 (월) 04:21 기준 최신판

이 공부에는 유비(analogy)적인 생각이 매우 유용하다.

무리함수적분 사인함수 원의 발견

\(\int_0^P{\frac{1}{\sqrt{1-z^2}}}dz\)


이 함수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적어도 세 가지를 이해해야 한다.


첫번째

\(\frac{1}{\sqrt{1-z^2}}\) 는 어떤 공간에 정의된 함수인가? 이것은 2 sheeted 리만 곡면에 정의된 함수이다.


두번째

\(\int_0^P{\frac{1}{\sqrt{1-z^2}}}dz\) 는 그럼 또 어떤 공간에 정의된 함수인가?

P 역시 2 sheeted 리만 곡면에서 정의되어 있다. 다만 이 값은 경로에 의존할 것이다.

한가지 달라지는 것은 P는 무한대 점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세번째

이 함수의 공역은 무엇인가?




\(\int_0^x{\frac{1}{\sqrt{1-x^2}}}dx+\int_0^y{\frac{1}{\sqrt{1-x^2}}}dx=\int_0^{x\sqrt{1-y^2}+y\sqrt{1-x^2}}{\frac{1}{\sqrt{1-x^2}}}dx\)

\(\arcsin x+\arcsin y=\arcsin(x\sqrt{1-y^2}+y\sqrt{1-x^2})\)

\(\sin\left(x+y\right)=\sin x\cos y +\cos x \sin y\)


이렇게 정의역과 공역을 명확하게 하려는 노력에서 일차적으로 리만곡면이 발견되었고, 아벨-자코비의 이론이 싹트게 된다.



타원적분 타원함수 토러스의 발견



복소함수와 브랜치컷

하나의 브랜치가 고정되었다고 하자.

\(w=f(z)\)

\((z,w)\) 는 리만곡면의 하나의 점을 나타내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