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 수체에 대한 디리클레 유수 (class number) 공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잔글 (찾아 바꾸기 – “<h5>” 문자열을 “==” 문자열로)
잔글 (찾아 바꾸기 – “</h5>” 문자열을 “==” 문자열로)
1번째 줄: 1번째 줄: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h5>
+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 [[이차 수체에 대한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 |이차 수체에 대한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
 
* [[이차 수체에 대한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 |이차 수체에 대한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
7번째 줄: 7번째 줄:
 
 
 
 
  
==개요</h5>
+
==개요==
  
 
* 디리클레의 class number 공식은 이차수체의 class number와 <math>s=1</math>에서의 <math>\zeta_{K}(s)</math> 의 residue 사이의 관계를 표현
 
* 디리클레의 class number 공식은 이차수체의 class number와 <math>s=1</math>에서의 <math>\zeta_{K}(s)</math> 의 residue 사이의 관계를 표현
16번째 줄: 16번째 줄:
 
 
 
 
  
==데데킨트 제타함수</h5>
+
==데데킨트 제타함수==
  
 
* 이차수체 <math>K</math>에 대하여, [[데데킨트 제타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됨
 
* 이차수체 <math>K</math>에 대하여, [[데데킨트 제타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됨
29번째 줄: 29번째 줄:
 
 
 
 
  
==복소이차수체에 대한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h5>
+
==복소이차수체에 대한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
  
 
(정리)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br>  복소 이차 수체(imaginary quadratic field) <math>K</math>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정리)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br>  복소 이차 수체(imaginary quadratic field) <math>K</math>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97번째 줄: 97번째 줄:
 
 
 
 
  
==증명</h5>
+
==증명==
  
 
<math>A=\frac{\sqrt{|d_K|}}{2}</math>는 <math>O_K</math> 의 integral basis가 만드는 평행사변형의 면적이라고 하자.
 
<math>A=\frac{\sqrt{|d_K|}}{2}</math>는 <math>O_K</math> 의 integral basis가 만드는 평행사변형의 면적이라고 하자.
141번째 줄: 141번째 줄:
 
 
 
 
  
==실 이차수체에 대한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h5>
+
==실 이차수체에 대한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
  
 
(정리)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br> 실 이차 수체(real quadratic field) <math>K</math>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정리)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br> 실 이차 수체(real quadratic field) <math>K</math>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217번째 줄: 217번째 줄: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2em;">예</h5>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2em;">예==
  
 
<math>K=\mathbb{Q}(\sqrt{5})</math>, <math>\epsilon_K=\frac{1+\sqrt{5}}{2}</math>,  <math>d_K=5</math>, <math>h_K=1</math>
 
<math>K=\mathbb{Q}(\sqrt{5})</math>, <math>\epsilon_K=\frac{1+\sqrt{5}}{2}</math>,  <math>d_K=5</math>, <math>h_K=1</math>
249번째 줄: 249번째 줄:
 
 
 
 
  
==가우스합과 class number</h5>
+
==가우스합과 class number==
  
 
* 7이상의 소수 <math>p \equiv 3 \pmod{4}</math> 에 대하여 <math>K=\mathbb{Q}(\sqrt{-p})</math> 의 class number는 다음과 같다
 
* 7이상의 소수 <math>p \equiv 3 \pmod{4}</math> 에 대하여 <math>K=\mathbb{Q}(\sqrt{-p})</math> 의 class number는 다음과 같다
262번째 줄: 262번째 줄:
 
 
 
 
  
==일반화된 class number 공식</h5>
+
==일반화된 class number 공식==
  
 
(정리) class number 공식
 
(정리) class number 공식
272번째 줄: 272번째 줄:
 
 
 
 
  
==역사</h5>
+
==역사==
  
 
* [[수학사연표 (역사)|수학사연표]]
 
* [[수학사연표 (역사)|수학사연표]]
281번째 줄: 281번째 줄:
 
 
 
 
  
==관련된 항목들</h5>
+
==관련된 항목들==
  
 
* [[가우스의 class number one 문제]]
 
* [[가우스의 class number one 문제]]
298번째 줄: 298번째 줄: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사전 형태의 자료</h5>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사전 형태의 자료==
  
 
* http://ko.wikipedia.org/wiki/
 
* http://ko.wikipedia.org/wiki/
310번째 줄: 310번째 줄: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h5>
+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 https://docs.google.com/file/d/0B8XXo8Tve1cxUUlzMVpyOUpWZ3M/edit
 
* https://docs.google.com/file/d/0B8XXo8Tve1cxUUlzMVpyOUpWZ3M/edit
326번째 줄: 326번째 줄:
 
 
 
 
  
==관련도서 및 추천도서</h5>
+
==관련도서 및 추천도서==
  
 
* [http://books.google.com/books?id=U91lsCaJJmsC Multiplicative Number Theo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Vol. 74)<br>
 
* [http://books.google.com/books?id=U91lsCaJJmsC Multiplicative Number Theo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Vol. 74)<br>
337번째 줄: 337번째 줄:
 
 
 
 
  
==리뷰논문, 에세이, 강의노트</h5>
+
==리뷰논문, 에세이, 강의노트==
  
 
* [http://www.math.umass.edu/%7Eweston/oldpapers/cnf.pdf Lectures on the Dirichlet Class Number Formula for Imaginary Quadratic Fields]<br>
 
* [http://www.math.umass.edu/%7Eweston/oldpapers/cnf.pdf Lectures on the Dirichlet Class Number Formula for Imaginary Quadratic Fields]<br>

2012년 11월 1일 (목) 12:58 판

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개요

  • 디리클레의 class number 공식은 이차수체의 class number와 \(s=1\)에서의 \(\zeta_{K}(s)\) 의 residue 사이의 관계를 표현
  • 이차 수체의 여러가지 불변량이 등장한다

 

 

데데킨트 제타함수

\(\zeta_{K}(s)=\sum_{I \text{:ideals}}\frac{1}{N(I)^s}=\prod_{\wp \text{:prime ideals}} \frac{1}{1-N(\wp)^{-s}}\)

  • \(d_K\)를 이차수체 \(K\)의 판별식이라 하면, 다음과 같이 두 L-함수의 곱으로 표현가능
    \(\zeta_{K}(s)=\zeta(s)L(\chi,s)=\zeta(s)L_{d_K}(s)\)
    \(d_K\)를 나누지 않는 소수 \(p\)에 대하여 \(\chi(p)=\left(\frac{d_K}{p}\right)\) 를 만족시키는 준동형사상 \(\chi \colon(\mathbb{Z}/d_K\mathbb{Z})^\times \to \mathbb C^{*}\)
    \(L_{d_K}(s):=L(s, \chi)\)
  • 일반적인 데데킨트 제타함수에 대해서는 데데킨트 제타함수 참조

 

 

복소이차수체에 대한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

(정리)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
 복소 이차 수체(imaginary quadratic field) \(K\)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 \lim_{s\to 1} (s-1)\zeta_K(s)=\frac{2\pi h_K}{w_K \cdot \sqrt{|d_K|}}\)

\(h_K\) 는 class number, \(w_K\)는 \(O_K\) 의 unit group의 크기, \(d_K\)는 \(K\)의 판별식(discriminant)

\(L(1,\chi)=L_{d_K}(1)=\frac{2\pi h_K}{w_K \cdot \sqrt{|d_K|}}\)

 

(따름정리)

\(q \geq 2\) 는 소수라 가정하자.

 

\(K=\mathbb{Q}(\sqrt{-q})\), \(q \geq 7\) , \(q \equiv 3 \pmod{4}\) 인 경우

\(d_K=-q\)

\(\chi(a)=\left(\frac{a}{q}\right)\)

\(\chi(-1)=-1\), 가우스 합은 \(\tau(\chi)=i\sqrt{q}\)

디리클레 L-함수 에서 얻은 결과를 이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L(1,\chi)= \frac{- \pi\sqrt{q}}{q^2}\sum_{a=1}^{q-1}\left(\frac{a}{q}\right) a=\frac{\pi h_K}{\sqrt{q}}\)

\(h_K=-\sum_{a=1}^{q-1}\left(\frac{a}{q}\right)\frac{a}{q}\)

 

 

\(K=\mathbb{Q}(\sqrt{-q})\)  , \(q \geq 5\) ,  \(q \equiv 1 \pmod{4}\) 인 경우

\(d_K=-4q\)

\(\chi(-1)=-1\),  가우스 합은 \(\tau(\chi)=2i\sqrt{q}\)

마찬가지로 디리클레 L-함수 에서 얻은 결과를 이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L(1,\chi)= -\frac{ \pi\sqrt{q}}{8q^2}{\sum_{(a,4q)=1}\chi(a) a=\frac{\pi h_K}{2\sqrt{q}}\)

\(h_K=-\frac{1}{4}\sum_{a=1,(a,4q)=1}^{4q-1}(-1)^{\frac{a-1}{2}}\left(\frac{a}{q}\right)\frac{a}{q}\)

 

 

\(n \geq 2\)가 squarefree라 하자.

\(K=\mathbb{Q}(\sqrt{-n})\)  의 경우 

\(n \geq 5\) 이고 \(n \equiv 1 \pmod{4}\) 인 경우, \(d_K=-4n\)

\( \lim_{s\to 1} (s-1)\zeta_K(s)=\frac{\pi h_K}{2\sqrt{n}}\)

\(n \geq 7\) 이고 \(n \equiv 3 \pmod{4}\) 인 경우,  \(d_K=-n\)

\( \lim_{s\to 1} (s-1)\zeta_K(s)=\frac{\pi h_K}{\sqrt{n}}\)

 

 

증명

\(A=\frac{\sqrt{|d_K|}}{2}\)는 \(O_K\) 의 integral basis가 만드는 평행사변형의 면적이라고 하자.

\(\zeta_{K}(s)=\sum_{n=1}^{\infty}\frac{a_n}{n^s}\)

여기서 \(a_n\) 은 norm 이 \(n\)인, 모든 ideal의 개수이다.

\(a_n(C)\) 는 ideal class \(C\) 에서, norm 이 \(n\)인 ideal의 개수로 정의하자.

증명의 아이디어

각각의 ideal class에 대하여, 주어진 norm 보다 작은 ideal의 개수를 estimate한다

즉, \(A_M(C)=\sum_{n=1}^M a_n(C)\) 의 크기를 알아보면 된다.

  • principal ideal class \(C\)
    • \(A_M(C)=\sum_{n=1}^M a_n(C)\)
    • \(|A_M(C)-\frac{\pi}{Aw}M|\leq C \sqrt{M}\), C는 적당한 상수
  • 다른 아이디얼 클래스 \(C'\)
    • \(A_M(C')=\sum_{n=1}^M a_n(C')\)
    • \(|A_M(C')-\frac{\pi}{Aw}M|\leq C' \sqrt{M}\) 임을 보일 수 있다.
  • class number의 유한성에 의하여, 적당한 상수 \(C_K\)가 존재하여
    \(|A_M-\frac{\pi h}{Aw}M|\leq C_K \sqrt{M}\) 가 성립한다.

다음과 같이 L-급수를 정의하자.

\(f(s)=\sum_{n=1}^{\infty}(a_n-\frac{h\pi}{Aw}) \frac{1}{n^s}\)

위에서 얻은 부등식에 의하여, 다음부등식을 얻는다.

\(|\sum_{n=1}^{M}(a_n-\frac{h\pi}{Aw})|=|A_M-\frac{h\pi }{Aw}M|\leq C_K \sqrt{M}\)

따라서 

\(f(s)=\sum_{n=1}^{\infty}(a_n-\frac{h\pi}{Aw}) \frac{1}{n^s}\) 는 \(s > \frac{1}{2}\) 에서 수렴하고, \(f(1)\) 이 존재한다.

\(s > 1\) 이면, \(f(s)=\sum_{n=1}^{\infty}(a_n-\frac{h\pi}{Aw}) \frac{1}{n^s}=\zeta_{K}(s)-\frac{h\pi}{Aw}\zeta(s)\)

\(\lim_{s\to 1} (s-1)\zeta_K(s) =\lim_{s\to 1} (s-1)f(s)+\lim_{s\to 1} (s-1)\frac{h\pi}{Aw}\zeta(s)=\frac{h\pi}{Aw}\)

 

 

실 이차수체에 대한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

(정리)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
실 이차 수체(real quadratic field) \(K\)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 \lim_{s\to 1} (s-1)\zeta_K(s)=\frac{2 h_K \ln \epsilon_K}{\sqrt{d_K}}\)

\(h_K\) 는 class number, \(d_K\)는 \(K\)의 판별식(discriminant), \(\epsilon_K\)은 fundamental unit

 

 

(따름정리)

실 이차수체 \(K\), \(d_K=q\)는 판별식

\(d_K\)를 나누지 않는 소수 \(p\)에 대하여 \(\chi(p)=\left(\frac{d_K}{p}\right)\) 를 만족시키는 준동형사상 \(\chi \colon(\mathbb{Z}/d_K\mathbb{Z})^\times \to \mathbb C^{*}\)

\(L_{d_K}(s):=L(s, \chi)\)

\(L_{d_K}(1)=L(1,\chi)=-\frac{\tau(\chi)}{q}\sum_{a=1,(a,q)=1}^{q-1}\bar\chi(a)\log(\sin \frac{a\pi}{q}})=\frac{2 h_K \ln \epsilon_K}{\sqrt{d_K}}\)

 

 

(따름정리)

소수 \(q\)에 대하여,  \(K=\mathbb{Q}(\sqrt{q})\)

\(q \geq 5\),   \(q \equiv 1 \pmod{4}\) 인 경우

\(2 h_K \ln \epsilon_K=-\sum_{a=1}^{q-1}\chi(a)\log(\sin \frac{a\pi}{q}})\)

\(q \geq 3\),   \(q \equiv 3 \pmod{4}\) 인 경우

 

\(2 h_K \ln \epsilon_K=-\sum_{a=1,(a,4q)=1}^{4q-1}\chi(a)\log(\sin \frac{a\pi}{4q}})\)

로 주어진다.

 

 

(증명)

\(q \geq 5\),   \(q \equiv 1 \pmod{4}\) 인 경우 \(d_K=q\)

\( \lim_{s\to 1} (s-1)\zeta_K(s)=L_{d_K}(1)\) 이므로 디리클레 L-함수 에서 얻어진 결과

\(L_{d_K}(1)=L(1,\chi)=-\frac{1}{\sqrt{q}}\sum_{a=1}^{q-1}(\frac{a}{q})\log(\sin \frac{a\pi}{q}})=\frac{2 h_K \ln \epsilon_K}{\sqrt{q}}\)

\(q \geq 3\),   \(q \equiv 3 \pmod{4}\) 인 경우 \(d_K=4q\)

 

소수 \(p \neq 2 , q\)에 대하여

 

\(\chi(p)=\left(\frac{-1}{p}\right)\left(\frac{p}{q}\right)\)

마찬가지로 디리클레 L-함수 에서 얻어진 결과에 의하여

\(L(1,\chi)=-\frac{1}{2\sqrt{q}}\sum_{(a,4q)=1}\chi(a)\log(\sin \frac{a\pi}{4q}})=\frac{2 h_K \ln \epsilon_K}{2\sqrt{q}}\)

 

 (증명끝)

 

 

예== \(K=\mathbb{Q}(\sqrt{5})\), \(\epsilon_K=\frac{1+\sqrt{5}}{2}\),  \(d_K=5\), \(h_K=1\) \(h_K =\frac{-1}{{2 \ln \epsilon_K} }\sum_{a=1}^{4}(\frac{a}{5})\log(\sin \frac{a\pi}{5}})=1\) \(K=\mathbb{Q}(\sqrt{13})\), \(\epsilon_K=\frac{3+\sqrt{13}}{2}\),  \(d_K=13\), \(h_K=1\) \(h_K =\frac{-1}{{2 \ln \epsilon_K} }\sum_{a=1}^{12}(\frac{a}{13})\log(\sin \frac{a\pi}{13}})=1\)     \(K=\mathbb{Q}(\sqrt{3})\), \(d_K=12\), \(\epsilon_K=2+\sqrt{3}\), \(h_K=1\) \(-\sum_{(a,12)=1}\chi(a)\log(\sin \frac{a\pi}{12}})=-(\log\sin\frac{\pi}{12}-\log\sin\frac{5\pi}{12}-\log\sin\frac{7\pi}{12}+\log\sin\frac{11\pi}{12})= 2\ln (2+\sqrt{3})=2.6339\cdots \)   \(K=\mathbb{Q}(\sqrt{7})\) , \(d_K=28\), \(\epsilon_K=8+3\sqrt{7}\), \(h_K=1\) \(-\sum_{(a,28)=1}\chi(a)\log(\sin \frac{a\pi}{28}})=2\ln (8+3\sqrt{7})=5.53732\cdots\)      

가우스합과 class number

  • 7이상의 소수 \(p \equiv 3 \pmod{4}\) 에 대하여 \(K=\mathbb{Q}(\sqrt{-p})\) 의 class number는 다음과 같다

\(h_K=-\sum_{a=1}^{p-1}\left(\frac{a}{p}\right)\frac{a}{p}\)

 

 

일반화된 class number 공식

(정리) class number 공식

   \( \lim_{s\to 1} (s-1)\zeta_K(s)=\frac{2^{r_1}\cdot(2\pi)^{r_2}\cdot h_K\cdot \operatorname{Reg}_K}{w_K \cdot \sqrt{|D_K|}}\)

 

 

역사

 

 

관련된 항목들

 

 

사전 형태의 자료==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관련도서 및 추천도서

 

 

리뷰논문, 에세이, 강의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