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띄엄띄엄 가우스 모형과 사인-고든 모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용자 이름 삭제됨)
(사용자 이름 삭제됨)
17번째 줄: 17번째 줄:
 
<math>=\sum_{m_1=-\infty}^\infty \cdots \sum_{m_N=-\infty}^\infty \int_{-\infty}^\infty dh_1\cdots \int_{-\infty}^\infty dh_N e^{-\beta J\sum_{\langle ij\rangle}(h_i-h_j)^2+2\pi i\sum_i m_ih_i}</math>
 
<math>=\sum_{m_1=-\infty}^\infty \cdots \sum_{m_N=-\infty}^\infty \int_{-\infty}^\infty dh_1\cdots \int_{-\infty}^\infty dh_N e^{-\beta J\sum_{\langle ij\rangle}(h_i-h_j)^2+2\pi i\sum_i m_ih_i}</math>
  
헷갈릴 수 있는데요, 분배함수의 첫번째 식에서 h는 정수지만 바로 위 식에서 h는 실수입니다. 대신 m이 정수죠. 위 식에서 m에 관한 합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가우스 모형(Gaussian model)이라 부릅니다. 이 모형은 [http://exactitude.tistory.com/777 구면모형에 관한 글]에서도 얘기한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m을 전하(charge)라고 부릅니다.
+
헷갈릴 수 있는데요, 분배함수의 첫번째 식에서 h는 정수지만 바로 위 식에서 h는 실수입니다. 대신 m이 정수죠. 위 식에서 m에 관한 합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가우스 모형(Gaussian model)이라 부릅니다. 이 모형은 [http://exactitude.tistory.com/777 구면모형에 관한 글]에서도 얘기한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m을 전하(charge)라고 부릅니다.
  
 
이제 여기에 전하의 밀도를 조절하는 퓨개서티를 도입합니다. 그리고 m들에 관한 합과 h들에 관한 적분을 편의상 다음처럼 줄여씁니다.
 
이제 여기에 전하의 밀도를 조절하는 퓨개서티를 도입합니다. 그리고 m들에 관한 합과 h들에 관한 적분을 편의상 다음처럼 줄여씁니다.
23번째 줄: 23번째 줄:
 
<math>Z_{DG}=\sum_{\left\{m\right\}} \int [Dh] e^{-\beta J\sum_{\langle ij\rangle}(h_i-h_j)^2+2\pi i\sum_i m_ih_i+\ln z \sum_i m_i^2}</math>
 
<math>Z_{DG}=\sum_{\left\{m\right\}} \int [Dh] e^{-\beta J\sum_{\langle ij\rangle}(h_i-h_j)^2+2\pi i\sum_i m_ih_i+\ln z \sum_i m_i^2}</math>
  
z가 1보다 매우 작다고 가정합시다. 그럼 ln z 에 곱해진 값이 작아져야 하므로 m은 0이거나 +1, -1만 갖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
z가 1보다 매우 작다고 가정합시다. 그럼 ln z 에 곱해진 값이 작아져야 하므로 m은 0이거나 +1, -1만 갖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m에 대한 합만 따로 떼어 써보겠습니다.
 +
 
 +
<math>\sum_{m_i} e^{2\pi im_ih_i+(\ln z) m_i^2}\approx 1+z(e^{2\pi i h_i}+e^{-2\pi i h_i})\approx e^{2z\cos 2\pi h_i}</math>
 +
 
 +
즉,

2010년 2월 7일 (일) 03:41 판

이번 통계물리 겨울학교의 주제는 '표면 상전이(surface phase transitions)'였습니다. 표면은 공간을 둘로 나누는 경계면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2차원 공간의 표면은 곡선, 3차원 공간의 표면은 곡면이 되겠죠. 물컵에 물이 반쯤 담겨있다고 합시다. 물과 공기를 가르는 표면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컵을 가열하다보면 물이 끓으면서 표면이 점점 거칠어져서 표면을 잘 정의하기 힘들어집니다. 이것만 보더라도 평평한(flat) 표면과 거친(rough) 표면을 구분할 수 있고 이 두 표면 사이의 상전이를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표면장력을 고려한 간단한 모형을 생각해봅시다. 다음과 같이 바닥에 정육면체 모양의 입자들이 쌓여있다고 합시다. 각 자리에 쌓인 입자의 개수, 즉 높이를 h라고 합니다. h는 정수겠죠.

이런 시스템의 상태는 각 자리에서의 h들만으로 기술됩니다. 어떤 상태가 갖는 에너지는 다음처럼 씁니다.

\(E(h_1,\cdots,h_N)=J\sum_{\langle ij\rangle}(h_i-h_j)^2\)

입자가 쌓이는 자리는 모두 N개가 있고 이웃한 높이의 차이만이 에너지를 결정한다고 가정했습니다. 합 기호 아래의 꺽쇠는 이웃한 자리에 대해서만 높이의 차이를 구해서 더하라는 뜻입니다. 이 에너지가 가장 낮을 때 즉 0일 때에는 모든 h가 같습니다. 즉 모든 자리에서 입자의 높이가 똑같은, 아주 평평한 표면을 이루는 상태입니다. 표면이 거칠어질수록 이 에너지는 높아지겠죠.

이걸 띄엄띄엄 가우스 모형(discrete Gaussian model; DG) 또는 고체 위 고체 모형(Solid-On-Solid model; SOS)이라 부른답니다. 이제 분배함수를 씁니다.

\(Z_{DG}=\sum_{h_1=-\infty}^\infty \cdots \sum_{h_N=-\infty}^\infty e^{-\beta J\sum_{\langle ij\rangle}(h_i-h_j)^2},\ \beta=1/k_BT\)

처음에 h를 정수로 정의했는데요, 앞글에서 썼던 푸아송 합공식을 이용하여 다시 써줍니다.

\(=\sum_{m_1=-\infty}^\infty \cdots \sum_{m_N=-\infty}^\infty \int_{-\infty}^\infty dh_1\cdots \int_{-\infty}^\infty dh_N e^{-\beta J\sum_{\langle ij\rangle}(h_i-h_j)^2+2\pi i\sum_i m_ih_i}\)

헷갈릴 수 있는데요, 분배함수의 첫번째 식에서 h는 정수지만 바로 위 식에서 h는 실수입니다. 대신 m이 정수죠. 위 식에서 m에 관한 합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가우스 모형(Gaussian model)이라 부릅니다. 이 모형은 구면모형에 관한 글에서도 얘기한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m을 전하(charge)라고 부릅니다.

이제 여기에 전하의 밀도를 조절하는 퓨개서티를 도입합니다. 그리고 m들에 관한 합과 h들에 관한 적분을 편의상 다음처럼 줄여씁니다.

\(Z_{DG}=\sum_{\left\{m\right\}} \int [Dh] e^{-\beta J\sum_{\langle ij\rangle}(h_i-h_j)^2+2\pi i\sum_i m_ih_i+\ln z \sum_i m_i^2}\)

z가 1보다 매우 작다고 가정합시다. 그럼 ln z 에 곱해진 값이 작아져야 하므로 m은 0이거나 +1, -1만 갖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m에 대한 합만 따로 떼어 써보겠습니다.

\(\sum_{m_i} e^{2\pi im_ih_i+(\ln z) m_i^2}\approx 1+z(e^{2\pi i h_i}+e^{-2\pi i h_i})\approx e^{2z\cos 2\pi h_i}\)

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