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 π는 무리수이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7번째 줄: 7번째 줄:
  
 
==증명==
 
==증명==
'''관찰'''
+
===관찰===
  
 
<math>\int_0^1 \sin \pi x\,dx = \frac{2}{\pi}</math>
 
<math>\int_0^1 \sin \pi x\,dx = \frac{2}{\pi}</math>
28번째 줄: 28번째 줄:
  
 
   
 
   
 
+
===보조정리 1===
'''보조정리 1'''
 
  
 
다음을 만족시키는 정수 <math>a_0,a_1,\cdots,a_{n}</math> 이 존재한다.
 
다음을 만족시키는 정수 <math>a_0,a_1,\cdots,a_{n}</math> 이 존재한다.
 
+
:<math>\int_0^1x^n \sin \pi x\,dx=\frac{a_n\pi^{n}+\cdots+a_0}{\pi^{n+1}}</math>
<math>\int_0^1x^n \sin \pi x\,dx=\frac{a_n\pi^{n}+\cdots+a_0}{\pi^{n+1}}</math>
 
  
 
(증명)
 
(증명)
40번째 줄: 38번째 줄:
  
 
다음 점화식이 성립한다.
 
다음 점화식이 성립한다.
 
+
:<math>y_{n}=\frac{1}{\pi}-\frac{n(n-1)}{\pi^2}y_{n-2},n\geq 2,y_0=\frac{2}{\pi},y_1=\frac{1}{\pi}.</math>
<math>y_{n}=\frac{1}{\pi}-\frac{n(n-1)}{\pi^2}y_{n-2}</math>, <math>n\geq 2</math>, <math>y_0=\frac{2}{\pi}</math>, <math>y_1=\frac{1}{\pi}</math>.
 
  
 
수학적귀납법에 의해 보조정리가 증명된다. ■
 
수학적귀납법에 의해 보조정리가 증명된다. ■
69번째 줄: 66번째 줄:
 
   
 
   
  
'''보조정리 2'''
+
===보조정리 2===
  
 
<math>n\geq 1</math> 일 때, n번 미분가능한 함수 <math>f</math>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math>n\geq 1</math> 일 때, n번 미분가능한 함수 <math>f</math>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math>\int_0^1P_n(x)f(x)\,dx=\frac{(-1)^{n}}{n!}\int_0^1 x^{n}(1-x)^nf^{(n)}(x)\,dx.</math>
<math>\int_0^1P_n(x)f(x)\,dx=\frac{(-1)^{n}}{n!}\int_0^1 x^{n}(1-x)^nf^{(n)}(x)\,dx</math>.
 
  
 
(증명)
 
(증명)
82번째 줄: 78번째 줄:
  
 
   
 
   
 +
===보조정리 3===
  
'''보조정리 3'''
+
다음을 만족시키는 정수 <math>a_0,a_1,\cdots,a_{n}</math> 이 존재한다
 +
:<math>\int_{0}^{1}P_n(x)\sin \pi x\,dx=\frac{a_n\pi^{n}+\cdots+a_0}{\pi^{n+1}}</math>
 +
(증명)
  
다음을 만족시키는 정수 <math>a_0,a_1,\cdots,a_{n}</math> 이 존재한다 :<math>\int_{0}^{1}P_n(x)\sin \pi x\,dx=\frac{a_n\pi^{n}+\cdots+a_0}{\pi^{n+1}}</math>
+
<math>P_{n}(x)</math>는 정수계수를 갖는 n차 다항식이므로, '''보조정리 1''' 에 의하여 증명된다. ■
(증명)<br>
 
<math>P_{n}(x)</math>는 정수계수를 갖는 n차 다항식이므로, '''보조정리 1''' 에 의하여 증명된다. ■
 
  
 
   
 
   
  
 
   
 
   
 
+
===귀류법을 통한 증명의 마무리===
'''귀류법을 통한 증명의 마무리'''
 
  
 
이제 π는 무리수, 즉 <math>\pi=a/b</math> 이라고 가정하자.  
 
이제 π는 무리수, 즉 <math>\pi=a/b</math> 이라고 가정하자.  
99번째 줄: 95번째 줄:
 
'''보조정리 3'''에 의하여,
 
'''보조정리 3'''에 의하여,
  
<math>I_{n}=\int_{0}^{1}P_n(x)\sin \pi x\,dx=\frac{a_n\pi^{n}+\cdots+a_0}{\pi^{n+1}}=\frac{b(a_na^{n}+a_{n-1}ba^{n-1}+\cdots+a_0b^{n})}{a^{n+1}}</math>
+
:<math>I_{n}=\int_{0}^{1}P_n(x)\sin \pi x\,dx=\frac{a_n\pi^{n}+\cdots+a_0}{\pi^{n+1}}=\frac{b(a_na^{n}+a_{n-1}ba^{n-1}+\cdots+a_0b^{n})}{a^{n+1}}</math>
  
 
는 0이 아닌 유리수가 된다. 따라서 <math>a^{n+1}I_{n}</math> 는 자연수이다.
 
는 0이 아닌 유리수가 된다. 따라서 <math>a^{n+1}I_{n}</math> 는 자연수이다.
  
 
'''보조정리 2'''에 의하여,
 
'''보조정리 2'''에 의하여,
 
+
:<math>0<|a^{n+1}I_{n}|=|a^{n+1}\int_{0}^{1}P_n(x)\sin x\,dx|=|a^{n+1}\int_{0}^{1}\frac{1}{n!}x^n(1-x)^n\frac{d^{n}}{dx^{n}}\sin \pi x\,dx|</math>
<math>0<|a^{n+1}I_{n}|=|a^{n+1}\int_{0}^{1}P_n(x)\sin x\,dx|=|a^{n+1}\int_{0}^{1}\frac{1}{n!}x^n(1-x)^n\frac{d^{n}}{dx^{n}}\sin \pi x\,dx|</math>
 
  
 
구간 <math>[0,1]</math>에서 <math>x(1-x)</math>의  최대값은 <math>1/4</math>이므로,
 
구간 <math>[0,1]</math>에서 <math>x(1-x)</math>의  최대값은 <math>1/4</math>이므로,
 
+
:<math>|a^{n+1}\int_{0}^{1}\frac{1}{n!}x^n(1-x)^n\frac{d^{n}}{dx^{n}}\sin \pi x\,dx|\leq |a^{n+1}\frac{1}{n!}\frac{\pi^{n}}{4^n}|=|\frac{a}{n!}(\frac{a\pi}{4})^n|</math> 이다.
<math>|a^{n+1}\int_{0}^{1}\frac{1}{n!}x^n(1-x)^n\frac{d^{n}}{dx^{n}}\sin \pi x\,dx|\leq |a^{n+1}\frac{1}{n!}\frac{\pi^{n}}{4^n}|=|\frac{a}{n!}(\frac{a\pi}{4})^n|</math> 이다.
 
  
 
n이 커지면 우변은 0으로 수렴한다.
 
n이 커지면 우변은 0으로 수렴한다.
  
 
따라서 <math>a^{n+1}I_{n}</math> 는 자연수일 수 없다. 모순. 따라서 π는 무리수이다. ■
 
따라서 <math>a^{n+1}I_{n}</math> 는 자연수일 수 없다. 모순. 따라서 π는 무리수이다. ■
 +
  
 
==역사==
 
==역사==
139번째 줄: 134번째 줄:
  
 
   
 
   
 
 
 
==수학용어번역==
 
 
* 단어사전 http://www.google.com/dictionary?langpair=en|ko&q=
 
* 발음사전 http://www.forvo.com/search/
 
* [http://mathnet.kaist.ac.kr/mathnet/math_list.php?mode=list&ftype=&fstr= 대한수학회 수학 학술 용어집]<br>
 
** http://mathnet.kaist.ac.kr/mathnet/math_list.php?mode=list&ftype=eng_term&fstr=
 
* [http://www.nktech.net/science/term/term_l.jsp?l_mode=cate&s_code_cd=MA 남·북한수학용어비교]
 
* [http://kms.or.kr/home/kor/board/bulletin_list_subject.asp?bulletinid=%7BD6048897-56F9-43D7-8BB6-50B362D1243A%7D&boardname=%BC%F6%C7%D0%BF%EB%BE%EE%C5%E4%B7%D0%B9%E6&globalmenu=7&localmenu=4 대한수학회 수학용어한글화 게시판]
 
 
 
 
 
   
 
   
  
173번째 줄: 154번째 줄:
 
* [http://dx.doi.org/10.1090/S0002-9904-1947-08821-2 A simple proof that $\pi$ is irrational]<br>
 
* [http://dx.doi.org/10.1090/S0002-9904-1947-08821-2 A simple proof that $\pi$ is irrational]<br>
 
** Ivan Niven,  Bull. Amer. Math. Soc. 53 (1947), 509.  
 
** Ivan Niven,  Bull. Amer. Math. Soc. 53 (1947), 509.  
* http://www.jstor.org/action/doBasicSearch?Query=
 
* http://www.ams.org/mathscinet
 
* http://dx.doi.org/
 
  
 
  
 
   
 
   
183번째 줄: 160번째 줄:
 
==블로그==
 
==블로그==
  
* [http://zariski.wordpress.com/2010/03/07/%CF%80%EC%9B%90%EC%A3%BC%EC%9C%A8%EC%9D%98-%EB%AC%B4%EB%A6%AC%EC%88%98%EC%84%B1-%EC%A6%9D%EB%AA%85/ ][http://zariski.wordpress.com/2010/03/07/%CF%80%EC%9B%90%EC%A3%BC%EC%9C%A8%EC%9D%98-%EB%AC%B4%EB%A6%AC%EC%88%98%EC%84%B1-%EC%A6%9D%EB%AA%85/ http://zariski.wordpress.com/2010/03/07/π원주율의-무리수성-증명/] 내 백과사전, 2010-3-7
+
* [http://zariski.wordpress.com/2010/03/07/%CF%80%EC%9B%90%EC%A3%BC%EC%9C%A8%EC%9D%98-%EB%AC%B4%EB%A6%AC%EC%88%98%EC%84%B1-%EC%A6%9D%EB%AA%85/ http://zariski.wordpress.com/2010/03/07/π원주율의-무리수성-증명/] 내 백과사전, 2010-3-7
 +
 
 
[[분류:원주율]]
 
[[분류:원주율]]

2013년 4월 5일 (금) 16:53 판

개요

  • 파이가 무리수임의 증명
  • [Huylebrouck2001]참조


증명

관찰

\(\int_0^1 \sin \pi x\,dx = \frac{2}{\pi}\)

\(\int_0^1 x \sin \pi x\,dx = \frac{1}{\pi}\)

\(\int_0^1x^2 \sin \pi x\,dx = \frac{\pi^2-4}{\pi^3}\)

\(\int_0^1x^3 \sin \pi x\,dx = \frac{\pi^2-6}{\pi^3}\)

\(\int_0^1x^4 \sin \pi x\,dx = \frac{48-12 \pi^2+\pi^4}{\pi^5}\)

\(\int_0^1x^5 \sin \pi x\,dx = \frac{120-20 \pi^2+\pi^4}{\pi^5}\)

\(\int_0^1x^6 \sin \pi x\,dx = \frac{-1440+360\pi^2-30 \pi^4+\pi^6}{\pi^7}\)

\(\int_0^1x^7 \sin \pi x\,dx = \frac{-5040+840\pi^2-42 \pi^4+\pi^6}{\pi^7}\)



보조정리 1

다음을 만족시키는 정수 \(a_0,a_1,\cdots,a_{n}\) 이 존재한다. \[\int_0^1x^n \sin \pi x\,dx=\frac{a_n\pi^{n}+\cdots+a_0}{\pi^{n+1}}\]

(증명)

\(y_{n}=\int_0^1x^n \sin \pi x\,dx\) 라 두자.

다음 점화식이 성립한다. \[y_{n}=\frac{1}{\pi}-\frac{n(n-1)}{\pi^2}y_{n-2},n\geq 2,y_0=\frac{2}{\pi},y_1=\frac{1}{\pi}.\]

수학적귀납법에 의해 보조정리가 증명된다. ■




정의

르장드르 다항식 의 변형, \(P_n(x) = \frac{1}{n!} {d^n \over dx^n } \left[ x^{n}(1-x)^n \right]\) 을 정의하자.

예 \begin{array}{l} 1 \\ -2 x+1 \\ 6 x^2-6 x+1 \\ -20 x^3+30 x^2-12 x+1 \\ 70 x^4-140 x^3+90 x^2-20 x+1 \\ -252 x^5+630 x^4-560 x^3+210 x^2-30 x+1 \\ 924 x^6-2772 x^5+3150 x^4-1680 x^3+420 x^2-42 x+1 \\ -3432 x^7+12012 x^6-16632 x^5+11550 x^4-4200 x^3+756 x^2-56 x+1 \end{array}


보조정리 2

\(n\geq 1\) 일 때, n번 미분가능한 함수 \(f\)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int_0^1P_n(x)f(x)\,dx=\frac{(-1)^{n}}{n!}\int_0^1 x^{n}(1-x)^nf^{(n)}(x)\,dx.\]

(증명)

부분적분. ζ(3)는 무리수이다(아페리의 정리) 의 보조정리4 참조. ■



보조정리 3

다음을 만족시키는 정수 \(a_0,a_1,\cdots,a_{n}\) 이 존재한다 \[\int_{0}^{1}P_n(x)\sin \pi x\,dx=\frac{a_n\pi^{n}+\cdots+a_0}{\pi^{n+1}}\] (증명)

\(P_{n}(x)\)는 정수계수를 갖는 n차 다항식이므로, 보조정리 1 에 의하여 증명된다. ■



귀류법을 통한 증명의 마무리

이제 π는 무리수, 즉 \(\pi=a/b\) 이라고 가정하자.

보조정리 3에 의하여,

\[I_{n}=\int_{0}^{1}P_n(x)\sin \pi x\,dx=\frac{a_n\pi^{n}+\cdots+a_0}{\pi^{n+1}}=\frac{b(a_na^{n}+a_{n-1}ba^{n-1}+\cdots+a_0b^{n})}{a^{n+1}}\]

는 0이 아닌 유리수가 된다. 따라서 \(a^{n+1}I_{n}\) 는 자연수이다.

보조정리 2에 의하여, \[0<|a^{n+1}I_{n}|=|a^{n+1}\int_{0}^{1}P_n(x)\sin x\,dx|=|a^{n+1}\int_{0}^{1}\frac{1}{n!}x^n(1-x)^n\frac{d^{n}}{dx^{n}}\sin \pi x\,dx|\]

구간 \([0,1]\)에서 \(x(1-x)\)의 최대값은 \(1/4\)이므로, \[|a^{n+1}\int_{0}^{1}\frac{1}{n!}x^n(1-x)^n\frac{d^{n}}{dx^{n}}\sin \pi x\,dx|\leq |a^{n+1}\frac{1}{n!}\frac{\pi^{n}}{4^n}|=|\frac{a}{n!}(\frac{a\pi}{4})^n|\] 이다.

n이 커지면 우변은 0으로 수렴한다.

따라서 \(a^{n+1}I_{n}\) 는 자연수일 수 없다. 모순. 따라서 π는 무리수이다. ■


역사



메모



관련된 항목들



사전 형태의 자료



관련논문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