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우스 정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ythagoras0 (토론 | 기여) |
Pythagoras0 (토론 | 기여)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 | * 수체 | + | * 수체 <math>K=\mathbb{Q}(\sqrt{-1})</math>의 정수환 <math>\mathcal{O}_K</math>은 다음과 같다 |
− | + | :<math> | |
\mathcal{O}_K=\mathbb{Z}[i]=\{a+bi|a,b\in \mathbb{Z}\} | \mathcal{O}_K=\mathbb{Z}[i]=\{a+bi|a,b\in \mathbb{Z}\} | ||
− | + | </math> | |
− | 여기서 | + | 여기서 <math>i</math>는 <math>x^2+1=0</math>의 해 <math>\sqrt{-1}</math>. |
− | * | + | * <math>\mathbb{Z}[i]</math>의 원소를 가우스 정수라 부른다 |
* [[페르마의 두 제곱의 합에 대한 정리]]에 등장 | * [[페르마의 두 제곱의 합에 대한 정리]]에 등장 | ||
==소 아이디얼 (prime ideal)== | ==소 아이디얼 (prime ideal)== | ||
− | * 단위원 | + | * 단위원 <math>\{1,-1,i,-i\}</math> |
− | * | + | * <math>(2)=(1+i)^2</math> |
− | * | + | * <math>p\equiv 1\pmod 4</math>이면, <math>p=x^2+y^2</math>를 만족시키는 <math>(x,y)\in \mathbb{Z}^2</math>가 존재하며, <math>(p)=(x+iy)(x-iy)</math> |
− | * | + | * <math>p\equiv 3\pmod 4</math>이면, <math>(p)</math>는 소 아이디얼 |
− | * 아래 표에서 | + | * 아래 표에서 <math>\{x,y\}</math>는 <math>p=x^2+y^2</math>의 정수해 |
− | + | :<math> | |
\begin{array}{c|c|c|c} | \begin{array}{c|c|c|c} | ||
p & p \bmod 4 & x^2+1 \bmod p & \{x,y\} \\ | p & p \bmod 4 & x^2+1 \bmod p & \{x,y\} \\ | ||
40번째 줄: | 40번째 줄: | ||
71 & 3 & x^2+1 & \text{x} | 71 & 3 & x^2+1 & \text{x} | ||
\end{array} | \end{array} | ||
− | + | </math> | |
===테이블=== | ===테이블=== | ||
− | * 소수 | + | * 소수 <math>p\in \mathbb{Z}</math>의 분해로부터 얻어지는 소 아이디얼의 나열 |
− | * | + | * <math>\pi</math>는 소 아이디얼의 primary인 생성원, <math>N(\pi)</math>는 norm |
− | + | :<math> | |
\begin{array}{c|c} | \begin{array}{c|c} | ||
\pi & N(\pi) \\ | \pi & N(\pi) \\ | ||
73번째 줄: | 73번째 줄: | ||
-47 & 2209 | -47 & 2209 | ||
\end{array} | \end{array} | ||
− | + | </math> | |
==메모== | ==메모== | ||
− | * | + | * <math>\alpha\in \mathbb{Z}[i]</math>가 <math>\alpha\equiv \pm 1 \bmod 2+2i</math>이면, <math>\alpha</math>를 primary라고 부른다 |
− | ** 이는 | + | ** 이는 <math>\alpha=a+bi, a + b \equiv a − b \equiv 1 \pmod 4</math>와 동치 |
2020년 11월 13일 (금) 06:48 기준 최신판
개요
- 수체 \(K=\mathbb{Q}(\sqrt{-1})\)의 정수환 \(\mathcal{O}_K\)은 다음과 같다
\[ \mathcal{O}_K=\mathbb{Z}[i]=\{a+bi|a,b\in \mathbb{Z}\} \] 여기서 \(i\)는 \(x^2+1=0\)의 해 \(\sqrt{-1}\).
- \(\mathbb{Z}[i]\)의 원소를 가우스 정수라 부른다
- 페르마의 두 제곱의 합에 대한 정리에 등장
소 아이디얼 (prime ideal)
- 단위원 \(\{1,-1,i,-i\}\)
- \((2)=(1+i)^2\)
- \(p\equiv 1\pmod 4\)이면, \(p=x^2+y^2\)를 만족시키는 \((x,y)\in \mathbb{Z}^2\)가 존재하며, \((p)=(x+iy)(x-iy)\)
- \(p\equiv 3\pmod 4\)이면, \((p)\)는 소 아이디얼
- 아래 표에서 \(\{x,y\}\)는 \(p=x^2+y^2\)의 정수해
\[ \begin{array}{c|c|c|c} p & p \bmod 4 & x^2+1 \bmod p & \{x,y\} \\ \hline 2 & 2 & (x+1)^2 & \text{x} \\ 3 & 3 & x^2+1 & \text{x} \\ 5 & 1 & (x+2) (x+3) & \{-1,-2\} \\ 7 & 3 & x^2+1 & \text{x} \\ 11 & 3 & x^2+1 & \text{x} \\ 13 & 1 & (x+5) (x+8) & \{3,-2\} \\ 17 & 1 & (x+4) (x+13) & \{1,-4\} \\ 19 & 3 & x^2+1 & \text{x} \\ 23 & 3 & x^2+1 & \text{x} \\ 29 & 1 & (x+12) (x+17) & \{-5,-2\} \\ 31 & 3 & x^2+1 & \text{x} \\ 37 & 1 & (x+6) (x+31) & \{-1,-6\} \\ 41 & 1 & (x+9) (x+32) & \{5,-4\} \\ 43 & 3 & x^2+1 & \text{x} \\ 47 & 3 & x^2+1 & \text{x} \\ 53 & 1 & (x+23) (x+30) & \{7,-2\} \\ 59 & 3 & x^2+1 & \text{x} \\ 61 & 1 & (x+11) (x+50) & \{-5,-6\} \\ 67 & 3 & x^2+1 & \text{x} \\ 71 & 3 & x^2+1 & \text{x} \end{array} \]
테이블
- 소수 \(p\in \mathbb{Z}\)의 분해로부터 얻어지는 소 아이디얼의 나열
- \(\pi\)는 소 아이디얼의 primary인 생성원, \(N(\pi)\)는 norm
\[ \begin{array}{c|c} \pi & N(\pi) \\ \hline 1+i & 2 \\ -3 & 9 \\ -1-2 i & 5 \\ -1+2 i & 5 \\ -7 & 49 \\ -11 & 121 \\ 3-2 i & 13 \\ 3+2 i & 13 \\ 1-4 i & 17 \\ 1+4 i & 17 \\ -19 & 361 \\ -23 & 529 \\ -5-2 i & 29 \\ -5+2 i & 29 \\ -31 & 961 \\ -1-6 i & 37 \\ -1+6 i & 37 \\ 5-4 i & 41 \\ 5+4 i & 41 \\ -43 & 1849 \\ -47 & 2209 \end{array} \]
메모
- \(\alpha\in \mathbb{Z}[i]\)가 \(\alpha\equiv \pm 1 \bmod 2+2i\)이면, \(\alpha\)를 primary라고 부른다
- 이는 \(\alpha=a+bi, a + b \equiv a − b \equiv 1 \pmod 4\)와 동치
관련된 항목들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수학용어번역
- prime - 대한수학회 수학용어집
- prime ideal 소 아이디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