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스키-윌슨 적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정리 (애스키-윌슨 Askey–Wilson)
 
;정리 (애스키-윌슨 Askey–Wilson)
복소수 $t_1, \dots ,t_4,q$$|t_1|, \dots , |t_4|,|q| <1$을 만족한다고 하자. 다음이 성립한다.  
+
복소수 <math>t_1, \dots ,t_4,q</math><math>|t_1|, \dots , |t_4|,|q| <1</math>을 만족한다고 하자. 다음이 성립한다.  
 
\begin{equation}\label{NR}
 
\begin{equation}\label{NR}
 
\frac{1}{2\pi \sqrt{-1}} \int_{\mathbb{T}}\frac{(z^2;q)_\infty (z^{-2};q)_\infty}{\prod_{i=1}^4 (t_i z;q)_\infty (t_i z^{-1};q)_\infty} \frac{dz}{z} \ =  \frac{2 (t_1 t_2 t_3 t_4;q)_\infty}{(q;q)_{\infty}\prod_{1 \leq i < j \leq 4} (t_i t_j;q)_\infty}
 
\frac{1}{2\pi \sqrt{-1}} \int_{\mathbb{T}}\frac{(z^2;q)_\infty (z^{-2};q)_\infty}{\prod_{i=1}^4 (t_i z;q)_\infty (t_i z^{-1};q)_\infty} \frac{dz}{z} \ =  \frac{2 (t_1 t_2 t_3 t_4;q)_\infty}{(q;q)_{\infty}\prod_{1 \leq i < j \leq 4} (t_i t_j;q)_\infty}
 
\end{equation}
 
\end{equation}
여기서 $\mathbb{T}$는 단위원 (양의 방향)
+
여기서 <math>\mathbb{T}</math>는 단위원 (양의 방향)
  
  

2020년 11월 16일 (월) 05:23 기준 최신판

개요

정리 (애스키-윌슨 Askey–Wilson)

복소수 \(t_1, \dots ,t_4,q\)가 \(|t_1|, \dots , |t_4|,|q| <1\)을 만족한다고 하자. 다음이 성립한다. \begin{equation}\label{NR} \frac{1}{2\pi \sqrt{-1}} \int_{\mathbb{T}}\frac{(z^2;q)_\infty (z^{-2};q)_\infty}{\prod_{i=1}^4 (t_i z;q)_\infty (t_i z^{-1};q)_\infty} \frac{dz}{z} \ = \frac{2 (t_1 t_2 t_3 t_4;q)_\infty}{(q;q)_{\infty}\prod_{1 \leq i < j \leq 4} (t_i t_j;q)_\infty} \end{equation} 여기서 \(\mathbb{T}\)는 단위원 (양의 방향)


관련된 항목들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관련논문

  • Ito, Masahiko. “Askey–Wilson Type Integrals Associated with Root Systems.” The Ramanujan Journal 12, no. 1 (August 2006): 131–51. doi:10.1007/s11139-006-9579-y.
  • Askey, Richard, and James Arthur Wilson. Some basic hypergeometric orthogonal polynomials that generalize Jacobi polynomials. Vol. 319. American Mathematical Soc.,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