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상수 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번째 줄: 2번째 줄:
  
 
 
 
 
 +
 +
자연상수는 수열의 극한을 통하여 정의된다. 그리하여 그 수열을 먼저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수열에 친숙해지기 위하여 좀더 친숙한 상황을 하나 생각해 보자.
 +
 +
비록 한국에서는 경제학을 문과로 분류하는 다소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지만, 자연상수를 공부하기엔, 돈과 이자 얘기가 좋다. 복리로 주어지는 예금상품이 있다고 하자. 넣어둔 돈이 a이고, 단위기간 동안의 이자율이 r이라고 하면, 그 단위기간이 지났을 때, 돈은 a(1+r) 이 된다. 만약에 그 돈을 계속 넣어둔다면, 약속된 단위기간이 지날 때마다, 통장의 예금은
 +
 +
<blockquote style="margin-top: 10px; margin-right: 10px; margin-bottom: 10px; margin-left: 10px; padding-top: 0px; padding-right: 0px; padding-bottom: 0px; padding-left: 35px; border-top-width: 1px; border-right-width: 1px; border-bottom-width: 1px; border-left-width: 1px; border-top-style: solid; border-right-style: solid; border-bottom-style: solid; border-left-style: solid; border-top-color: rgb(244, 243, 236); border-right-color: rgb(244, 243, 236); border-bottom-color: rgb(244, 243, 236); border-left-color: rgb(244, 243, 236); background-color: rgb(250, 250, 231); background-position: 7px 10px;">
 +
<math>a(1+r), a(1+r)^2, a(1+r)^3, /cdots,</math>
 +
</blockquote>
 +
 +
로 늘어나게 된다.
 +
 +
이제 자연상수를 공부하기 위하여, 넣어둔 돈은 1, 단위기간은 1년, 이자율은 100%라고 하자.(말하고 보니, 이데아의 세계…) 1년 뒤에는 돈이 2가 될 것이다. 그런데 이 상황을 약간 변형하여 이렇게 하면 어떨까. 단위기간은 1년의 절반인 6개월로 하는 대신, 이자를 6개월마다 50% 복리로 받는 것이다. 그렇다면 1년 후에, 통장에 들어 있게 되는 돈은 다음과 같다.
 +
 +
<blockquote style="margin-top: 10px; margin-right: 10px; margin-bottom: 10px; margin-left: 10px; padding-top: 0px; padding-right: 0px; padding-bottom: 0px; padding-left: 35px; border-top-width: 1px; border-right-width: 1px; border-bottom-width: 1px; border-left-width: 1px; border-top-style: solid; border-right-style: solid; border-bottom-style: solid; border-left-style: solid; border-top-color: rgb(244, 243, 236); border-right-color: rgb(244, 243, 236); border-bottom-color: rgb(244, 243, 236); border-left-color: rgb(244, 243, 236); background-color: rgb(250, 250, 231); background-position: 7px 10px;">
 +
<math>(1+/frac{1}{2})^2=2.25</math>
 +
</blockquote>
 +
 +
수익이 더 높아졌다!
 +
 +
만약에 단위기간을 1년의 3분의 1인, 4개월로 하고, 4개월마다 이자를 33.33% 씩 받는다면, 1년 후에 받게 되는 돈은 이렇게 될 것이다.
 +
 +
<blockquote style="margin-top: 10px; margin-right: 10px; margin-bottom: 10px; margin-left: 10px; padding-top: 0px; padding-right: 0px; padding-bottom: 0px; padding-left: 35px; border-top-width: 1px; border-right-width: 1px; border-bottom-width: 1px; border-left-width: 1px; border-top-style: solid; border-right-style: solid; border-bottom-style: solid; border-left-style: solid; border-top-color: rgb(244, 243, 236); border-right-color: rgb(244, 243, 236); border-bottom-color: rgb(244, 243, 236); border-left-color: rgb(244, 243, 236); background-color: rgb(250, 250, 231); background-position: 7px 10px;">
 +
<math>(1+/frac{1}{3})^3=2.370370 /cdots</math>
 +
</blockquote>
 +
 +
수익이 더 높아졌다. 이자를 이런 식으로 받으면 수익은 언제나 더 높아지는 것일까? 즉, 만약 단위기간을 1년의 n분의 1로 하고, 이자를 n분의 1 비율의 복리로 받게 된다면, 1년후, 이 돈은 얼마가 되는 것일까. 이렇게 될 것이다.
 +
 +
<blockquote style="margin-top: 10px; margin-right: 10px; margin-bottom: 10px; margin-left: 10px; padding-top: 0px; padding-right: 0px; padding-bottom: 0px; padding-left: 35px; border-top-width: 1px; border-right-width: 1px; border-bottom-width: 1px; border-left-width: 1px; border-top-style: solid; border-right-style: solid; border-bottom-style: solid; border-left-style: solid; border-top-color: rgb(244, 243, 236); border-right-color: rgb(244, 243, 236); border-bottom-color: rgb(244, 243, 236); border-left-color: rgb(244, 243, 236); background-color: rgb(250, 250, 231); background-position: 7px 10px;">
 +
<math>(1+/frac{1}{n})^n</math>
 +
</blockquote>
 +
 +
이제 오늘 내가 할 것은, 바로 이 수열에 대한 것이다.
 +
 +
첫번째, 이자율은 아무리 잘게 쪼개도 200%는 안 된다.<br> 두번째, 그렇지만 이자를 잘게 쪼개서 받을수록 수익률은 더 높다.
 +
 +
이 두가지 사실이 수학적으로 의미하는 사실은,
 +
 +
<blockquote style="margin-top: 10px; margin-right: 10px; margin-bottom: 10px; margin-left: 10px; padding-top: 0px; padding-right: 0px; padding-bottom: 0px; padding-left: 35px; border-top-width: 1px; border-right-width: 1px; border-bottom-width: 1px; border-left-width: 1px; border-top-style: solid; border-right-style: solid; border-bottom-style: solid; border-left-style: solid; border-top-color: rgb(244, 243, 236); border-right-color: rgb(244, 243, 236); border-bottom-color: rgb(244, 243, 236); border-left-color: rgb(244, 243, 236); background-color: rgb(250, 250, 231); background-position: 7px 10px;">
 +
<math>/{(1+/frac{1}{n})^n/}</math>
 +
</blockquote>
 +
 +
이라는 수열은, 유계인 단조증가 수열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지난번 “[http://bomber0.byus.net/index.php/2008/03/30/570 리만의 제타함수 (5) : 지수의 실수로의 확장]“에서 언급한, 실수의 완비성에 의해, 이 수열은 수렴하게 된다. 이 때, 수열의 극한값을 e, 자연상수라고 부르는 것이다.
 +
 +
 
 +
 +
수열 <math>(1+/frac{1}{n})^n</math>.
 +
 +
<math>(1+/frac{1}{n})^n < 3</math> 의 증명
 +
 +
<math>(1+/frac{1}{n})^n</math>는 증가수열 및 자연상수의 정의.
  
 
 
 
 
17번째 줄: 67번째 줄:
 
* [[1964250|0 토픽용템플릿]]<br>
 
* [[1964250|0 토픽용템플릿]]<br>
 
** [[2060652|0 상위주제템플릿]]<br>
 
** [[2060652|0 상위주제템플릿]]<br>
 +
** [[search?q=%EC%9E%90%EC%97%B0%EC%83%81%EC%88%98%26nbsp%3Be%EB%8A%94%20%EC%B4%88%EC%9B%94%EC%88%98%EC%9D%B4%EB%8B%A4&parent id=3623769|자연상수 e는 초월수이다]]<br>
  
 
 
 
 
41번째 줄: 92번째 줄: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관련된 고교수학 또는 대학수학</h5>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관련된 고교수학 또는 대학수학</h5>
  
 
+
 <br>
  
 
 
 
 
47번째 줄: 98번째 줄: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관련된 다른 주제들</h5>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관련된 다른 주제들</h5>
  
 
+
* [[산술기하조화평균과 부등식]]<br>
 
 
 
* [[수학사연표 (역사)|수학사연표]]
 
* [[수학사연표 (역사)|수학사연표]]
  
78번째 줄: 128번째 줄: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관련기사</h5>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관련기사</h5>
  
 +
*  도박,그만둘 때를 알면 잃지 않는다<br>
 +
*  임원철, 부산일보, 2009-8-15<br>
 
*  네이버 뉴스 검색 (키워드 수정)<br>
 
*  네이버 뉴스 검색 (키워드 수정)<br>
 
** http://new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ws&x=0&y=0&sm=tab_hty&query=
 
** http://new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ws&x=0&y=0&sm=tab_hty&query=
91번째 줄: 143번째 줄: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블로그</h5>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블로그</h5>
  
 +
* [http://bomber0.byus.net/index.php/2008/04/05/575 리만의 제타함수 (6) : 자연상수]
 
* [http://bomber0.byus.net/index.php/2008/07/26/696 derangement : 목욕탕에서 서로 등을 밀어주는 경우의 수와 자연상수] (피타고라스의 창)
 
* [http://bomber0.byus.net/index.php/2008/07/26/696 derangement : 목욕탕에서 서로 등을 밀어주는 경우의 수와 자연상수] (피타고라스의 창)
 
* 구글 블로그 검색 http://blogsearch.google.com/blogsearch?q=
 
* 구글 블로그 검색 http://blogsearch.google.com/blogsearch?q=

2009년 8월 15일 (토) 20:11 판

간단한 소개

 

자연상수는 수열의 극한을 통하여 정의된다. 그리하여 그 수열을 먼저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수열에 친숙해지기 위하여 좀더 친숙한 상황을 하나 생각해 보자.

비록 한국에서는 경제학을 문과로 분류하는 다소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지만, 자연상수를 공부하기엔, 돈과 이자 얘기가 좋다. 복리로 주어지는 예금상품이 있다고 하자. 넣어둔 돈이 a이고, 단위기간 동안의 이자율이 r이라고 하면, 그 단위기간이 지났을 때, 돈은 a(1+r) 이 된다. 만약에 그 돈을 계속 넣어둔다면, 약속된 단위기간이 지날 때마다, 통장의 예금은

\(a(1+r), a(1+r)^2, a(1+r)^3, /cdots,\)

로 늘어나게 된다.

이제 자연상수를 공부하기 위하여, 넣어둔 돈은 1, 단위기간은 1년, 이자율은 100%라고 하자.(말하고 보니, 이데아의 세계…) 1년 뒤에는 돈이 2가 될 것이다. 그런데 이 상황을 약간 변형하여 이렇게 하면 어떨까. 단위기간은 1년의 절반인 6개월로 하는 대신, 이자를 6개월마다 50% 복리로 받는 것이다. 그렇다면 1년 후에, 통장에 들어 있게 되는 돈은 다음과 같다.

\((1+/frac{1}{2})^2=2.25\)

수익이 더 높아졌다!

만약에 단위기간을 1년의 3분의 1인, 4개월로 하고, 4개월마다 이자를 33.33% 씩 받는다면, 1년 후에 받게 되는 돈은 이렇게 될 것이다.

\((1+/frac{1}{3})^3=2.370370 /cdots\)

수익이 더 높아졌다. 이자를 이런 식으로 받으면 수익은 언제나 더 높아지는 것일까? 즉, 만약 단위기간을 1년의 n분의 1로 하고, 이자를 n분의 1 비율의 복리로 받게 된다면, 1년후, 이 돈은 얼마가 되는 것일까. 이렇게 될 것이다.

\((1+/frac{1}{n})^n\)

이제 오늘 내가 할 것은, 바로 이 수열에 대한 것이다.

첫번째, 이자율은 아무리 잘게 쪼개도 200%는 안 된다.
두번째, 그렇지만 이자를 잘게 쪼개서 받을수록 수익률은 더 높다.

이 두가지 사실이 수학적으로 의미하는 사실은,

\(/{(1+/frac{1}{n})^n/}\)

이라는 수열은, 유계인 단조증가 수열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지난번 “리만의 제타함수 (5) : 지수의 실수로의 확장“에서 언급한, 실수의 완비성에 의해, 이 수열은 수렴하게 된다. 이 때, 수열의 극한값을 e, 자연상수라고 부르는 것이다.

 

수열 \((1+/frac{1}{n})^n\).

\((1+/frac{1}{n})^n < 3\) 의 증명

\((1+/frac{1}{n})^n\)는 증가수열 및 자연상수의 정의.

 

상위 주제

 

 

 

하위페이지

 

 

재미있는 사실

 

 

많이 나오는 질문과 답변

 

관련된 고교수학 또는 대학수학
  •  

 

관련된 다른 주제들

 

관련도서 및 추천도서

 

참고할만한 자료

 

관련기사

 

 

블로그

 

이미지 검색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