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수 문제 (congruent number problem)"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잔글 (찾아 바꾸기 – “</h5>” 문자열을 “==” 문자열로)
잔글 (찾아 바꾸기 – “<h5 (.*)">” 문자열을 “==” 문자열로)
1번째 줄: 1번째 줄: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
==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 [[congruent number 문제]]
 
* [[congruent number 문제]]
7번째 줄: 7번째 줄: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개요==
+
==개요==
  
 
* 자연수 중에서 세변이 모두 유리수 길이를 갖는 직각삼각형의 넓이로 나타날 수 있는 수를 congruent number라 함
 
* 자연수 중에서 세변이 모두 유리수 길이를 갖는 직각삼각형의 넓이로 나타날 수 있는 수를 congruent number라 함
59번째 줄: 59번째 줄: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2em;">n=1 의 경우==
+
==n=1 의 경우==
  
 
* n=1은 congruent number 가 아니다
 
* n=1은 congruent number 가 아니다
82번째 줄: 82번째 줄: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2em;">n=6인 경우==
+
==n=6인 경우==
  
 
*  6은 congruent number이다<br><math>y^2=x^3-36x</math>의 모든 정수해는<math>(x,y)= (0, 0), (\pm6, 0), (−3,\pm9), (−2,\pm8), (12,\pm36), (18,\pm72), (294,\pm5040)</math> 이다.<br>
 
*  6은 congruent number이다<br><math>y^2=x^3-36x</math>의 모든 정수해는<math>(x,y)= (0, 0), (\pm6, 0), (−3,\pm9), (−2,\pm8), (12,\pm36), (18,\pm72), (294,\pm5040)</math> 이다.<br>
93번째 줄: 93번째 줄: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2em;">목록==
+
==목록==
  
 
*  5, 6, 7, 13, 14, 15, 20, 21, 22, 23, 24, 28, 29, 30, 31, 34, 37, 38, 39, 41, 45, 46, 47, 52, 53, 54, 55, 56, 60, 61, 62, 63, 65, 69, 70, 71, 77, 78, 79, 80, 84 ...<br>
 
*  5, 6, 7, 13, 14, 15, 20, 21, 22, 23, 24, 28, 29, 30, 31, 34, 37, 38, 39, 41, 45, 46, 47, 52, 53, 54, 55, 56, 60, 61, 62, 63, 65, 69, 70, 71, 77, 78, 79, 80, 84 ...<br>
128번째 줄: 128번째 줄: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수학용어번역==
+
==수학용어번역==
  
 
* http://www.google.com/dictionary?langpair=en|ko&q=
 
* http://www.google.com/dictionary?langpair=en|ko&q=
170번째 줄: 170번째 줄: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관련도서==
+
==관련도서==
  
 
*  History of the Theory of Numbers Volume II<br>
 
*  History of the Theory of Numbers Volume II<br>
 
**  Leonard Eugene Dickson<br>
 
**  Leonard Eugene Dickson<br>
 
**  Chapter XVI<br>
 
**  Chapter XVI<br>

2012년 11월 1일 (목) 13:23 판

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개요

  • 자연수 중에서 세변이 모두 유리수 길이를 갖는 직각삼각형의 넓이로 나타날 수 있는 수를 congruent number라 함
  • 타원곡선 \(y^2=x^3-n^2x\) 의 rank가 1이상인 경우를 찾는 문제와 같다
  • 주어진 n이 congruent number 인지를 판정하는 방법이 있으나, Birch and Swinnerton-Dyer 추측에 의존하고 있다  [Tunnell1983]

 

 

타원곡선과의 관계

(정리)

자연수 \(n\) 은 congruent number 이다

 \(\iff\) 타원곡선 \(y^2=x^3-n^2x\) 이 \(y\neq0\)인 유리해를 갖는다.

 \(\iff\) 타원곡선 \(y^2=x^3-n^2x\) 의 rank가 1이상이다.

(증명)

직각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a,b,c\)로 주어졌다고 가정하고 그 넓이가 \(n\) 이라 하자.

\(a^2 + b^2 &=& c^2\\ \frac{ab}{2} &=& n\)

다음 방정식이 만족됨을 알 수 있다.

\((\frac{a^2-b^2}{4})^2=(\frac{c}{2})^4-n^2\)

\(u=\frac{c}{2}\), \(v=\frac{a^2-b^2}{4}\) 로 두자.

디오판투스 방정식 \(u^4-n^2=v^2\) 가 유리해를 가짐을 알 수 있다.

\(u^4-n^2=v^2\)에서 \(u^6-n^2u^2=u^2v^2\) 를 얻은 뒤, \(x=u^2\), \(y=uv\) 로 두면, 타원곡선의 방정식 \(y^2=x^3-n^2x\)을 얻는다.

따라서 세 변의 길이가 \(a,b,c\)이고 그 넓이가 \(n\)인 직각삼각형이 있으면, 타원곡선  \(y^2=x^3-n^2x\)의 유리해를 얻는다.

그러면 역으로 타원곡선  \(y^2=x^3-n^2x\)의 유리해가 있을때,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직각삼각형을 찾을 수 있을까?

\(y\neq0\)인 유리수해 \((x,y)\) 에 대하여

\(a=|\frac{n^2-x^2}{y}|\), \(b=|\frac{2nx}{y}|\), \(c=|\frac{n^2+x^2}{y}|\)

로 두면 각 변이 유리수 길이를 갖는 직각삼각형을 얻을 수 있다. 

한편 타원곡선 \(y^2=x^3-n^2x\)의 torsion은 \(\{(\infty,\infty), (0,0),(n,0),(-n,0)\}\) 뿐이므로, \(y\neq0\)인 유리수해 \((x,y)\) 의 존재는 타원곡선 \(y^2=x^3-n^2x\) 의 rank가 1이상이라는 사실과 동치이다. ■

 

 

n=1 의 경우

 

 

n=5인 경우

  • 5는 congruent number 이다
    •  세 변의 길이가 다음과 같은 직각삼각형을 만들 수 있다
    • \(\frac{41}{6},\frac{20}{3},\frac{3}{2}\)
    • 5는 가장 작은 congruent number이다

 

 

n=6인 경우

  • 6은 congruent number이다
    \(y^2=x^3-36x\)의 모든 정수해는\((x,y)= (0, 0), (\pm6, 0), (−3,\pm9), (−2,\pm8), (12,\pm36), (18,\pm72), (294,\pm5040)\) 이다.
  • 사각 피라미드 퍼즐 항목 참조

 

 

 

목록

 

 

메모

 

 

역사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사전 형태의 자료

 

 

계산 리소스

 

 

관련논문

 

 

관련도서

  • History of the Theory of Numbers Volume II
    • Leonard Eugene Dickson
    • Chapter XV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