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뫼비우스의 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피타고라스님이 이 페이지에 recycle.jpg 파일을 등록하셨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사각형 모양의 종이를 하나 가져와서, 왼쪽과 오른쪽 양끝을 서로 붙이되 한번 꼬아서 붙인 것을 뫼비우스의 띠라 함. | * 사각형 모양의 종이를 하나 가져와서, 왼쪽과 오른쪽 양끝을 서로 붙이되 한번 꼬아서 붙인 것을 뫼비우스의 띠라 함. | ||
− | * 뫼비우스의 띠에서는 곡면의 안과 밖을 구분할 수가 없음. | + | |
− | * 한 점에서 출발하여 계속 | + | [/pages/2014134/attachments/906554 moeb.gif] |
+ | |||
+ | * 뫼비우스의 띠에서는 곡면의 안과 밖을 구분할 수가 없음.<br> | ||
+ | ** 한 점에서 출발하여 계속 걸어가면, 같은 점에 반대면에 처음에서 거꾸로 선 상태로 도달할수 있고, 계속 걸어간다면, 그 점에서 출발한 상태로 돌아올 수 있음. | ||
+ | |||
+ | [/pages/2014134/attachments/906552 escher-mobius-2.jpg] | ||
+ | |||
+ | 수학을 소재로 한 예술작품을 많이 남기 에셔의 작품 | ||
9번째 줄: | 16번째 줄: | ||
<h5>재미있는 사실</h5> | <h5>재미있는 사실</h5> | ||
− | + | * 이렇게 돌고도는 뫼비우스 띠의 성질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재활용 마크의 디자인에 활용되었음.<br>[/pages/2014134/attachments/906556 recycle.jpg]<br> | |
15번째 줄: | 22번째 줄: | ||
<h5>관련된 단원</h5> | <h5>관련된 단원</h5> | ||
− | + | * 위상수학(?) | |
21번째 줄: | 28번째 줄: | ||
<h5>관련된 다른 주제들</h5> | <h5>관련된 다른 주제들</h5> | ||
− | + | * 클라인씨의 병 | |
+ | * [[뫼비우스 변환군과 기하학]] | ||
33번째 줄: | 41번째 줄: | ||
<h5>관련된 고교수학 또는 대학수학</h5> | <h5>관련된 고교수학 또는 대학수학</h5> | ||
− | + | * [[대수적위상수학]] (대학수학) | |
<h5>참고할만한 자료</h5> | <h5>참고할만한 자료</h5> | ||
+ | |||
+ | * http://en.wikipedia.org/wiki/Recycling_symbol | ||
+ | * http://en.wikipedia.org/wiki/M%C3%B6bius_strip |
2008년 10월 30일 (목) 17:43 판
간단한 소개
- 사각형 모양의 종이를 하나 가져와서, 왼쪽과 오른쪽 양끝을 서로 붙이되 한번 꼬아서 붙인 것을 뫼비우스의 띠라 함.
[/pages/2014134/attachments/906554 moeb.gif]
- 뫼비우스의 띠에서는 곡면의 안과 밖을 구분할 수가 없음.
- 한 점에서 출발하여 계속 걸어가면, 같은 점에 반대면에 처음에서 거꾸로 선 상태로 도달할수 있고, 계속 걸어간다면, 그 점에서 출발한 상태로 돌아올 수 있음.
[/pages/2014134/attachments/906552 escher-mobius-2.jpg]
수학을 소재로 한 예술작품을 많이 남기 에셔의 작품
재미있는 사실
- 이렇게 돌고도는 뫼비우스 띠의 성질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재활용 마크의 디자인에 활용되었음.
[/pages/2014134/attachments/906556 recycle.jpg]
관련된 단원
- 위상수학(?)
관련된 다른 주제들
- 클라인씨의 병
- 뫼비우스 변환군과 기하학
관련도서 및 추천도서
관련된 고교수학 또는 대학수학
- 대수적위상수학 (대학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