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차원 짝수 자기쌍대 격자
Pythagoras0 (토론 | 기여)님의 2014년 7월 10일 (목) 17:12 판 (새 문서: ==개요== * $E_8^2$격자와 $D_{16}^{+}$격자 ==세타 급수== * $g=1$의 경우 * $E_8^2$격자와 $D_{16}^{+}$격자의 세타함수는 [[아이젠슈타인 급수(Eisenstein ...)
개요
- $E_8^2$격자와 $D_{16}^{+}$격자
세타 급수
- $g=1$의 경우
- $E_8^2$격자와 $D_{16}^{+}$격자의 세타함수는 아이젠슈타인 급수(Eisenstein series) $E_4^2=E_8$와 같으며 따라서 가중치평균도 이와 같다
관련된 항목들
관련논문
- Poor, Cris. 1996. “Schottky’s Form and the Hyperelliptic Locu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24 (7): 1987–91. doi:10.1090/S0002-9939-96-03312-6.
- Igusa, Jun-ichi. 1981. “Schottky’s Invariant and Quadratic Forms.” In E. B. Christoffel, edited by P. L. Butzer and F. Fehér, 352–62. Birkhäuser Basel. http://link.springer.com/chapter/10.1007/978-3-0348-5452-8_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