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칙특이점(regular singular points)"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  선형미분방정식:<math>\frac{d^n w}{dz^n} + A_1(z)\frac{d^{n-1}w}{dz^{n-1}} + \cdots + A_{n-1}(z)\frac{dw}{dz} + A_n(z)w=0</math><br>
+
*  선형미분방정식:<math>\frac{d^n w}{dz^n} + A_1(z)\frac{d^{n-1}w}{dz^{n-1}} + \cdots + A_{n-1}(z)\frac{dw}{dz} + A_n(z)w=0</math>
*  선형미분방정식의 특이점을 다음과 같이 분류함<br>
+
*  선형미분방정식의 특이점을 다음과 같이 분류함
 
**  특이점이 아닌경우 ordinary point
 
**  특이점이 아닌경우 ordinary point
 
**  정칙특이점 (regular singular point)
 
**  정칙특이점 (regular singular point)
 
**  비정칙특이점 (irregular singular point)
 
**  비정칙특이점 (irregular singular point)
*  특이점 <math>z=a</math> 근방에서, 미분방정식의 해가 함수 <math>(z-a)^{\alpha}\log^{k} (z-a), \alpha\in\mathbb{C}, k=0,1,2,\cdots</math> 들의 해석함수를 계수로 갖는 선형결합으로 쓰여지는 경우,  <math>z=a</math>를 정칙특이점이라 한다<br>
+
*  특이점 <math>z=a</math> 근방에서, 미분방정식의 해가 함수 <math>(z-a)^{\alpha}\log^{k} (z-a), \alpha\in\mathbb{C}, k=0,1,2,\cdots</math> 들의 해석함수를 계수로 갖는 선형결합으로 쓰여지는 경우,  <math>z=a</math>를 정칙특이점이라 한다
*  각 <math>A_{i}(z)</math>가 <math>z=a</math>에서 기껏해야 order가 i 인 pole을 가지는 경우, z=a가 정칙특이점이 되는 것과 동치이다<br> <br>
+
*  각 <math>A_{i}(z)</math>가 <math>z=a</math>에서 기껏해야 order가 i 인 pole을 가지는 경우, z=a가 정칙특이점이 되는 것과 동치이다   
  
 
   
 
   
15번째 줄: 15번째 줄:
 
==이계 선형 미분방정식의 경우==
 
==이계 선형 미분방정식의 경우==
  
* [[이계 선형 미분방정식]]:<math>\frac{d^2w}{dz^2}+p(z)\frac{dw}{dz}+q(z)w=0</math><br>
+
* [[이계 선형 미분방정식]]:<math>\frac{d^2w}{dz^2}+p(z)\frac{dw}{dz}+q(z)w=0</math>
*  위의 미분방정식이 <math>z=a</math>에서 정칙특이점을 갖는 것은 <math>p(z),q(z)</math> 가  <math>z=a</math> 근방에서 다음과 로랑급수를 가질 조건과 동치이다:<math>p(z)=\frac{a_{-1}}{z-a}+a_0+a_1(z-a)+a_2(z-a)^{2}+\cdots</math>:<math>q(z)=\frac{b_{-2}}{(z-a)^2}+\frac{b_{-1}}{z-a}+b_0+b_1(z-a)+b_2(z-a)^{2}+\cdots</math><br>
+
*  위의 미분방정식이 <math>z=a</math>에서 정칙특이점을 갖는 것은 <math>p(z),q(z)</math> 가  <math>z=a</math> 근방에서 다음과 로랑급수를 가질 조건과 동치이다:<math>p(z)=\frac{a_{-1}}{z-a}+a_0+a_1(z-a)+a_2(z-a)^{2}+\cdots</math>:<math>q(z)=\frac{b_{-2}}{(z-a)^2}+\frac{b_{-1}}{z-a}+b_0+b_1(z-a)+b_2(z-a)^{2}+\cdots</math>
 
* <math>z=\infty</math> 인 경우는 <math>u=1/z</math> 로 치환하여,  <math>u=0</math>에서 <math>Y(u):=Y(1/z)=w(z)</math>가 만족하는 다음 미분방정식으로 특이점을 판단
 
* <math>z=\infty</math> 인 경우는 <math>u=1/z</math> 로 치환하여,  <math>u=0</math>에서 <math>Y(u):=Y(1/z)=w(z)</math>가 만족하는 다음 미분방정식으로 특이점을 판단
 
:<math>
 
:<math>
38번째 줄: 38번째 줄:
 
==메모==
 
==메모==
  
* [http://www.math.umn.edu/%7Egarrett/m/mfms/notes_c/reg_sing_pt.pdf http://www.math.umn.edu/~garrett/m/mfms/notes_c/reg_sing_pt.pdf]<br>
+
* [http://www.math.umn.edu/%7Egarrett/m/mfms/notes_c/reg_sing_pt.pdf http://www.math.umn.edu/~garrett/m/mfms/notes_c/reg_sing_pt.pdf]
  
 
   
 
   
68번째 줄: 68번째 줄:
 
   
 
   
 
[[분류:미분방정식]]
 
[[분류:미분방정식]]
 +
 +
==메타데이터==
 +
===위키데이터===
 +
* ID :  [https://www.wikidata.org/wiki/Q3925845 Q3925845]
 +
===Spacy 패턴 목록===
 +
* [{'LOWER': 'regular'}, {'LOWER': 'singular'}, {'LEMMA': 'point'}]
 +
* [{'LOWER': 'regular'}, {'LEMMA': 'point'}]

2021년 2월 17일 (수) 04:58 기준 최신판

개요

  • 선형미분방정식\[\frac{d^n w}{dz^n} + A_1(z)\frac{d^{n-1}w}{dz^{n-1}} + \cdots + A_{n-1}(z)\frac{dw}{dz} + A_n(z)w=0\]
  • 선형미분방정식의 특이점을 다음과 같이 분류함
    • 특이점이 아닌경우 ordinary point
    • 정칙특이점 (regular singular point)
    • 비정칙특이점 (irregular singular point)
  • 특이점 \(z=a\) 근방에서, 미분방정식의 해가 함수 \((z-a)^{\alpha}\log^{k} (z-a), \alpha\in\mathbb{C}, k=0,1,2,\cdots\) 들의 해석함수를 계수로 갖는 선형결합으로 쓰여지는 경우, \(z=a\)를 정칙특이점이라 한다
  • 각 \(A_{i}(z)\)가 \(z=a\)에서 기껏해야 order가 i 인 pole을 가지는 경우, z=a가 정칙특이점이 되는 것과 동치이다



이계 선형 미분방정식의 경우

  • 이계 선형 미분방정식\[\frac{d^2w}{dz^2}+p(z)\frac{dw}{dz}+q(z)w=0\]
  • 위의 미분방정식이 \(z=a\)에서 정칙특이점을 갖는 것은 \(p(z),q(z)\) 가 \(z=a\) 근방에서 다음과 로랑급수를 가질 조건과 동치이다\[p(z)=\frac{a_{-1}}{z-a}+a_0+a_1(z-a)+a_2(z-a)^{2}+\cdots\]\[q(z)=\frac{b_{-2}}{(z-a)^2}+\frac{b_{-1}}{z-a}+b_0+b_1(z-a)+b_2(z-a)^{2}+\cdots\]
  • \(z=\infty\) 인 경우는 \(u=1/z\) 로 치환하여, \(u=0\)에서 \(Y(u):=Y(1/z)=w(z)\)가 만족하는 다음 미분방정식으로 특이점을 판단

\[ Y''(u)+\frac{\left(2 u-p\left(\frac{1}{u}\right)\right) Y'(u)}{u^2}+\frac{q\left(\frac{1}{u}\right) Y(u)}{u^4}=0 \]



역사



메모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 regular singularity , 정칙특이점
  • singularity - 대한수학회 수학용어집
  • regular - 대한수학회 수학용어집
  • ordinary - 대한수학회 수학용어집



사전 형태의 자료

메타데이터

위키데이터

Spacy 패턴 목록

  • [{'LOWER': 'regular'}, {'LOWER': 'singular'}, {'LEMMA': 'point'}]
  • [{'LOWER': 'regular'}, {'LEMMA': 'p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