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수학의 명장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35번째 줄: | 35번째 줄: | ||
** 다섯개의 정다면체 | ** 다섯개의 정다면체 | ||
** 축구공의 수학 | ** 축구공의 수학 | ||
− | ** 뫼비우스의 띠 | + | ** [[search?q=%EB%AB%BC%EB%B9%84%EC%9A%B0%EC%8A%A4%EC%9D%98%20%EB%9D%A0&parent id=1947040|뫼비우스의 띠]] |
** 오일러의 정리 | ** 오일러의 정리 | ||
** 볼록다면체에 대한 데카르트 정리 | ** 볼록다면체에 대한 데카르트 정리 | ||
** [[피타고라스의 정리]] | ** [[피타고라스의 정리]] | ||
** [[반전사상(inversion)]] | ** [[반전사상(inversion)]] | ||
− | ** [[ | + | ** [[A4 종이와 루트2|A4와 루트2]] |
* 궁금하지만 잘 말해주지 않는 사실들<br> | * 궁금하지만 잘 말해주지 않는 사실들<br> | ||
** 왜 10진법을 사용할까? | ** 왜 10진법을 사용할까? |
2008년 10월 30일 (목) 17:24 판
- 중학교 수학 교과 과정 개괄
- 교과과정
- 초등학교 수학과의 차이점
- 수학은 왜 배우나
- 수학을 잘 하려면
- 단원별 소개
- 수와 식
- 수의 체계
- 일차식
- 이차식
- 방정식과 부등식
- 일차방정식
- 이차방정식
- 함수
- 일차함수
- 이차함수
- 평면기하학
- 직선
- 원
- 삼각형
- 삼각비
- 위상수학?
- 한붓그리기
- 오일러의 정리
- 확률과 통계
- 경우의 수
- 확률
- 수와 식
- 중학수학의 명장면 또는 중학생이 이해할 수 있는 재미있는 공식 및 정리
- 분수와 순환소수
- Farey series
- 이진법
- 다섯개의 정다면체
- 축구공의 수학
- 뫼비우스의 띠
- 오일러의 정리
- 볼록다면체에 대한 데카르트 정리
- 피타고라스의 정리
- 반전사상(inversion)
- A4와 루트2
- 궁금하지만 잘 말해주지 않는 사실들
- 왜 10진법을 사용할까?
- 왜 360도인가?
- 수학은 어디에 활용되는가?
- 근의 공식 : 3차 방정식, 4차방정식 그리고 5차방정식을 넘어서
- 0.99999999... = 1 ?
- 음수 x 음수 = 양수 ?
- 고등학교에서는 무슨 수학을 배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