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과 적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Pythagoras0 (토론 | 기여)   |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 ==개요==  | 
| + | |||
| + | *   7차 교육 과정에서 미분과 적분 개념은 크게 '수2', '선택 미분과 적분' 에서 다루어진다. 크게 살펴보면,  | ||
** 수 2 : 다항함수의 미분과 적분  | ** 수 2 : 다항함수의 미분과 적분  | ||
| − | ** 선택 미분과 적분 : 기타 초월함수의 미분과 적분  | + | ** 선택 미분과 적분 : 기타 초월함수의 미분과 적분  | 
| − | |||
* 미분은 자르는 것, 적분은 모으는 것. (무슨 말일까요?)  | * 미분은 자르는 것, 적분은 모으는 것. (무슨 말일까요?)  | ||
| − | * 미분은 기울기를 구하는 과정이고, (정)적분은 넓이를 구하는 과정이다  | + | *  미분은 기울기를 구하는 과정이고, (정)적분은 넓이를 구하는 과정이다 Tip) 배울 때는 미분을 먼저 배우지만, 역사적으로는 적분의 개념이 먼저이다  | 
| − | *  개략적인 틀  | + | |
| − | ** 평균변화율과 순간변화율의 개념  | + | *  개략적인 틀 : 어떤 것들을 배우게 되는가?  | 
| − | ** 부정적분의 개념  | + | ** 평균변화율과 순간변화율의 개념  | 
| + | ** 연속성과 미분가능성에 대하여  | ||
| + | ** 미분의 선형성 (선형성이라는 용어는 배우지 않는다)  | ||
| + | ** 미분의 계산법 (도함수를 구하는 법)  | ||
| + | ** 연쇄법칙 (chain rule)  | ||
| + | ** 미분의 응용:  접선, 최(극)대와 최(극)소, 오목과 볼록, 그래프의 개형, 속도와 가속도, 기타 변화와 관련된 문제들  | ||
| + | ** 부정적분의 개념  | ||
| + | ** 부정적분의 계산법  | ||
| + | ** 구분구적법 : 정적분을 위한 기초  | ||
| + | ** 정적분의 개념과 계산  | ||
| + | ** 정적분과 부정적분의 선형성  | ||
| + | ** <em class="underline" style="">부정적분과 정적분의 관계(미적분학의 기본 정리)</em>  | ||
| + | ** 적분하는데 필요한 스킬 : 치환적분과 부분적분, 부분분수로 고치는 방법 등  | ||
| + | ** 정적분의 여러 가지 문제: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 무한급수를 정적분으로 고치는 법.  | ||
| + | ** 응용: 넓이, 부피, 그래프의 길이.  | ||
| + | |||
| + | |||
| + | |||
| + | |||
| + | |||
| + | ==배우기 전에 알고 있어야 하는 것들==  | ||
| + | |||
| + | * 극한의 개념 : 미분은 극한으로 정의된다.  | ||
| + | *  시그마 기호 <math>\sum</math>, 무한합(급수)의 개념    | ||
| + | |||
| + | ==중요한 개념 및 정리==  | ||
| + | |||
| + | * 미분과 적분의 선형성 : 합은 떨어지고 상수배는 나온다.  | ||
| + | *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 <math>f(x)</math> 의 한 부정적분함수를 <math>F(x)</math> 라 하면  <math>F'(x)= \int_a^x \frac{d}{dx}f(x)dt=f(x)</math>  | ||
| + | |||
| + | ==재미있는 문제==  | ||
| + | |||
| + | * 사이클로이드 문제  | ||
| + | |||
| + | |||
| + | |||
| + | ==관련된 개념 및 나중에 더 배우게 되는 것들==  | ||
| + | |||
| + | * 리만 적분(우리가 배우는 적분은 리만 적분이다), 르벡 적분  | ||
| + | |||
| + | |||
| + | |||
| + | |||
| + | |||
| + | ==관련된 대학교 수학==  | ||
| + | |||
| + | * [[25 미적분학|04 미적분학]]  | ||
| + | * [[해석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관련된 항목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관련논문==  | |
| − | + | ||
| − | * [http://www.jstor.org/stable/2325217?&Search=yes&term=sin&term=differentiation&term=formula&list=hide&searchUri=%2Faction%2FdoBasicSearch%3FQuery%3Don%2Bthe%2Bdifferentiation%2Bformula%2Bfor%2Bsin%26gw%3Djtx%26prq%3Don%2Bthe%2Bdifferentiation%2Bformular%2Bfor%2Bsin%26Search%3DSearch%26hp%3D25%26wc%3Don&item=7&ttl=4278&returnArticleService=showArticle On the Differentiation Formula for   | + | * [http://www.jstor.org/stable/2325217?&Search=yes&term=sin&term=differentiation&term=formula&list=hide&searchUri=%2Faction%2FdoBasicSearch%3FQuery%3Don%2Bthe%2Bdifferentiation%2Bformula%2Bfor%2Bsin%26gw%3Djtx%26prq%3Don%2Bthe%2Bdifferentiation%2Bformular%2Bfor%2Bsin%26Search%3DSearch%26hp%3D25%26wc%3Don&item=7&ttl=4278&returnArticleService=showArticle On the Differentiation Formula for <math>\sin\theta</math>] , [http://www.jstor.org/action/doBasicSearch?Query=au%3A%22Donald+Hartig%22&wc=on Donald Hartig]  | 
** <cite>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cite>, Vol. 96, No. 3 (Mar., 1989), p. 252  | ** <cite>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cite>, Vol. 96, No. 3 (Mar., 1989), p. 252  | ||
| − | + | ||
| − | + | ||
(편집이 필요합니다)  | (편집이 필요합니다)  | ||
| + | [[분류:고교수학]]  | ||
2020년 12월 28일 (월) 02:22 기준 최신판
개요
- 7차 교육 과정에서 미분과 적분 개념은 크게 '수2', '선택 미분과 적분' 에서 다루어진다. 크게 살펴보면,
- 수 2 : 다항함수의 미분과 적분
 - 선택 미분과 적분 : 기타 초월함수의 미분과 적분
 
 - 미분은 자르는 것, 적분은 모으는 것. (무슨 말일까요?)
 - 미분은 기울기를 구하는 과정이고, (정)적분은 넓이를 구하는 과정이다 Tip) 배울 때는 미분을 먼저 배우지만, 역사적으로는 적분의 개념이 먼저이다
 
- 개략적인 틀 : 어떤 것들을 배우게 되는가?
- 평균변화율과 순간변화율의 개념
 - 연속성과 미분가능성에 대하여
 - 미분의 선형성 (선형성이라는 용어는 배우지 않는다)
 - 미분의 계산법 (도함수를 구하는 법)
 - 연쇄법칙 (chain rule)
 - 미분의 응용: 접선, 최(극)대와 최(극)소, 오목과 볼록, 그래프의 개형, 속도와 가속도, 기타 변화와 관련된 문제들
 - 부정적분의 개념
 - 부정적분의 계산법
 - 구분구적법 : 정적분을 위한 기초
 - 정적분의 개념과 계산
 - 정적분과 부정적분의 선형성
 - 부정적분과 정적분의 관계(미적분학의 기본 정리)
 - 적분하는데 필요한 스킬 : 치환적분과 부분적분, 부분분수로 고치는 방법 등
 - 정적분의 여러 가지 문제: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 무한급수를 정적분으로 고치는 법.
 - 응용: 넓이, 부피, 그래프의 길이.
 
 
 
 
배우기 전에 알고 있어야 하는 것들
- 극한의 개념 : 미분은 극한으로 정의된다.
 - 시그마 기호 \(\sum\), 무한합(급수)의 개념
 
중요한 개념 및 정리
- 미분과 적분의 선형성 : 합은 떨어지고 상수배는 나온다.
 -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 \(f(x)\) 의 한 부정적분함수를 \(F(x)\) 라 하면 \(F'(x)= \int_a^x \frac{d}{dx}f(x)dt=f(x)\)
 
재미있는 문제
- 사이클로이드 문제
 
 
관련된 개념 및 나중에 더 배우게 되는 것들
- 리만 적분(우리가 배우는 적분은 리만 적분이다), 르벡 적분
 
 
 
관련된 대학교 수학
 
 
관련된 항목들
 
 
관련논문
- On the Differentiation Formula for \(\sin\theta\) , Donald Hartig
-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Vol. 96, No. 3 (Mar., 1989), p. 252
 
 
 
 
(편집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