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Pythagoras0 (토론 | 기여)   |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 ==개요==  | 
| + | * 자연수 집합을 정의역으로 갖는 함수  | ||
| + | * n에 대응되는 값을 <math>a_n</math>과 같이 첨자(index)를 사용해서 표시함.  | ||
| + | * <math>\{a_k\}_{k=0}^\infty</math>은 수열 <math>a_0, a_1, a_2, a_3, a_4, \cdots</math>을 나타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중요한 개념 및 정리==  | 
| + | *  수열을 정의하는 두 가지 방법 : 일반항과 점화식  | ||
| + | **  일반항 : <math>a_n</math>이 <math>n</math>의 함수로 주어지는 경우  | ||
| + | **  점화식 : 여러 항 사이의 관계식으로 수열이 주어지는 경우  | ||
| + | *** 점화식에서 일반항을 찾아내는 것은 중요한 문제임.  | ||
| + | **  번째 수를 알아 내기 위해서는 초항부터 (n-1) 번째 항까지의 모든 수를 다 알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컴퓨터로 큰 항을 계산할 때는 점화식이 더 편리할 때가 많다. 컴퓨터는 정수 계산이 실수 계산보다 훨씬 빠르고,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점화식은 메모리를 거의 차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 의 과정에서)    | ||
| − | |||
| − | |||
| − | + | ==기본적인 수열의 예==  | |
| + | * [[등차수열]]  | ||
| + | * [[등비수열]]  | ||
| + | * [[피보나치 수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다른 수열의 예==  | |
| − | + | * [[루카스 수열]]  | |
| − | *  | + | * [[카탈란 수열(Catalan number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메모==  | |
| − | + | *(보통 제 1 항부터 시작하지만, 제 0 항 <math>a_0</math>부터 시작하는 경우도 있다.)  | |
| − | <  | + | *<math>a</math>대신 다른 알파벳을 써도 무방함.   | 
| − | + | * 숫자를 나열한 것. 보통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라는 조건이 붙는 경우가 많음.  | |
| − | + | * 항이 유한 개 있으면 유한수열, 항이 무한히 많으면 무한수열.  | |
| − | + | * 영어로는 Sequence 라고 한다. 이 단어를 <수열> 이라고 번역하는 바람에, 실수열, 함수열, 행렬열, 벡터열, … 이 모두 수열에 속하게 되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관련된 항목들==  | |
| + | * [[04 부분합과 급수|부분합과 급수]]  | ||
| + | * [[03 시그마 기호 : 합의 기호의 도입|시그마 기호 ]]  | ||
| + | * [[수열의 극한]]  | ||
| + | * [[06 여러 가지 수열|여러 가지 수열]]  | ||
| + | * [[점화식]]   | ||
| + | * [[생성함수]]  | ||
| + | * [[차분방정식(difference equation) 과 유한미적분학 (finite calculus)]]  | ||
| + | * [[수열의 오일러 변환]]  | ||
| + | * [[단봉수열 (unimodal sequence)]]  | ||
| − | + | ==관련된 개념 및 나중에 더 배우게 되는 것들==  | |
| − | + | * [[생성함수|http://pythagoras0.springnote.com/pages/1987712]]  | |
| − | + | ||
| − | + | ==관련있는 다른 과목==  | |
| − | + | * 이산수학  | |
| + | [[분류:고교수학]]  | ||
| + | [[분류:수열]]  | ||
2020년 12월 28일 (월) 02:32 기준 최신판
개요
- 자연수 집합을 정의역으로 갖는 함수
 - n에 대응되는 값을 \(a_n\)과 같이 첨자(index)를 사용해서 표시함.
 - \(\{a_k\}_{k=0}^\infty\)은 수열 \(a_0, a_1, a_2, a_3, a_4, \cdots\)을 나타냄
 
중요한 개념 및 정리
- 수열을 정의하는 두 가지 방법 : 일반항과 점화식
- 일반항 \[a_n\]이 \(n\)의 함수로 주어지는 경우
 - 점화식 : 여러 항 사이의 관계식으로 수열이 주어지는 경우
- 점화식에서 일반항을 찾아내는 것은 중요한 문제임.
 
 - 번째 수를 알아 내기 위해서는 초항부터 (n-1) 번째 항까지의 모든 수를 다 알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컴퓨터로 큰 항을 계산할 때는 점화식이 더 편리할 때가 많다. 컴퓨터는 정수 계산이 실수 계산보다 훨씬 빠르고,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점화식은 메모리를 거의 차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 의 과정에서)
 
 
기본적인 수열의 예
또다른 수열의 예
 
메모
- (보통 제 1 항부터 시작하지만, 제 0 항 \(a_0\)부터 시작하는 경우도 있다.)
 - \(a\)대신 다른 알파벳을 써도 무방함.
 - 숫자를 나열한 것. 보통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라는 조건이 붙는 경우가 많음.
 - 항이 유한 개 있으면 유한수열, 항이 무한히 많으면 무한수열.
 - 영어로는 Sequence 라고 한다. 이 단어를 <수열> 이라고 번역하는 바람에, 실수열, 함수열, 행렬열, 벡터열, … 이 모두 수열에 속하게 되었다.
 
관련된 항목들
- 부분합과 급수
 - 시그마 기호
 - 수열의 극한
 - 여러 가지 수열
 - 점화식
 - 생성함수
 - 차분방정식(difference equation) 과 유한미적분학 (finite calculus)
 - 수열의 오일러 변환
 - 단봉수열 (unimodal sequence)
 
관련된 개념 및 나중에 더 배우게 되는 것들
 
관련있는 다른 과목
- 이산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