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계수 이계 선형미분방정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 [[상수계수 이계 선형미분방정식]]
 
 
 
 
 
 
 
 
 
==개요==
 
==개요==
  
 
+
  
 
+
  
 
==상수계수 이계 선형미분방정식==
 
==상수계수 이계 선형미분방정식==
 
+
* 미분방정식 <math>ay''+by'+cy=0</math>해는 2차원 벡터공간을 이루므로, 두 개의 선형독립인 해를 찾으면 된다.
<math>ay''+by'+cy=0</math>
+
* 특성방정식 <math>ax^2 + bx + c = 0 </math>
 
+
===특성방정식이 서로 다른 두 <math>\alpha, \beta</math>갖는 경우===
미분방정식의 해는 2차원 벡터공간을 이루므로, 두 개의 선형독립인 해를 찾으면 된다.
 
 
 
 
 
 
 
특성방정식 <math>ax^2 + bx + c = 0 </math> 서로 다른 두 근을 <math>\alpha, \beta</math> 갖는 경우.
 
 
 
 
함수 <math>e^{\alpha t}</math>와 <math>e^{\beta t}</math>는 선형독립인 두 해가 된다.
 
함수 <math>e^{\alpha t}</math>와 <math>e^{\beta t}</math>는 선형독립인 두 해가 된다.
  
 
(두 함수의 [[론스키안(Wronskian)]] 은 <math>e^{t (\alpha +\beta )} (-\alpha +\beta )</math> 이다)
 
(두 함수의 [[론스키안(Wronskian)]] 은 <math>e^{t (\alpha +\beta )} (-\alpha +\beta )</math> 이다)
  
 
+
  
 
따라서 일반해는 그 선형결합 <math>y(t) = Ae^{\alpha t} + Be^{\beta t}</math> 꼴로 주어진다.
 
따라서 일반해는 그 선형결합 <math>y(t) = Ae^{\alpha t} + Be^{\beta t}</math> 꼴로 주어진다.
  
 
 
 
특성방정식 <math>ax^2 + bx + c = 0 </math> 가 중근을 <math>\alpha</math> 를 갖는 경우.
 
 
 
 
  
 +
===특성방정식이 중근 <math>\alpha</math>을 갖는 경우===
 
함수 <math>e^{\alpha t}</math>와 <math>te^{\beta t}</math>는 선형독립인 두 해가 된다.
 
함수 <math>e^{\alpha t}</math>와 <math>te^{\beta t}</math>는 선형독립인 두 해가 된다.
 
 
 
  
 
따라서 일반해는 그 선형결합 <math>y(t) = Ae^{\alpha t} + Bte^{\alpha t}</math> 꼴로 주어진다.
 
따라서 일반해는 그 선형결합 <math>y(t) = Ae^{\alpha t} + Bte^{\alpha t}</math> 꼴로 주어진다.
  
 
 
  
 
+
;증명
 
 
(증명)
 
  
 
<math>ax^2 + bx + c = 0 </math>가 중근 <math>\alpha</math>을 가지므로 <math>a\alpha^2+b\alpha+c=0, 2a+b=0</math>이다.
 
<math>ax^2 + bx + c = 0 </math>가 중근 <math>\alpha</math>을 가지므로 <math>a\alpha^2+b\alpha+c=0, 2a+b=0</math>이다.
59번째 줄: 36번째 줄:
 
미분방정식에 대입하면,
 
미분방정식에 대입하면,
  
<math>ay''(t)+by'(t)+cy =\{a(\alpha^2 t+2\alpha)+b(\alpha t+1)+ct\}e^{\alpha t}=\{(a\alpha^2 +b\alpha+c)t+(2a \alpha +b)\}e^{\alpha t}=0</math> ■
+
<math>ay''(t)+by'(t)+cy =\{a(\alpha^2 t+2\alpha)+b(\alpha t+1)+ct\}e^{\alpha t}=\{(a\alpha^2 +b\alpha+c)t+(2a \alpha +b)\}e^{\alpha t}=0</math>
  
 
+
  
 
+
  
 
==역사==
 
==역사==
  
* [[수학사연표 (역사)|수학사연표]]
+
* [[수학사 연표]]
  
 
+
  
 
+
  
 
==메모==
 
==메모==
  
 
+
  
 
+
  
 
==관련된 항목들==
 
==관련된 항목들==
  
 
+
  
 
 
  
==수학용어번역==
 
  
* http://www.google.com/dictionary?langpair=en|ko&q=
+
==사전 형태의 자료==
* [http://mathnet.kaist.ac.kr/mathnet/math_list.php?mode=list&ftype=&fstr= 대한수학회 수학 학술 용어집]<br>
 
** http://mathnet.kaist.ac.kr/mathnet/math_list.php?mode=list&ftype=eng_term&fstr=
 
* [http://kms.or.kr/home/kor/board/bulletin_list_subject.asp?bulletinid=%7BD6048897-56F9-43D7-8BB6-50B362D1243A%7D&boardname=%BC%F6%C7%D0%BF%EB%BE%EE%C5%E4%B7%D0%B9%E6&globalmenu=7&localmenu=4 대한수학회 수학용어한글화 게시판]
 
 
 
 
 
 
 
 
 
 
 
==사전 형태의 자료==
 
  
 
* http://ko.wikipedia.org/wiki/
 
* http://ko.wikipedia.org/wiki/
 
* http://en.wikipedia.org/wiki/Linear_differential_equation
 
* http://en.wikipedia.org/wiki/Linear_differential_equation
* http://en.wikipedia.org/wiki/
 
* http://www.wolframalpha.com/input/?i=
 
* [http://dlmf.nist.gov/ NIST Digital Library of Mathematical Functions]
 
* [http://www.research.att.com/%7Enjas/sequences/index.html The On-Line Encyclopedia of Integer Sequences]<br>
 
** http://www.research.att.com/~njas/sequences/?q=
 
  
 
 
  
 
 
  
==관련논문==
+
 
+
[[분류:미분방정식]]
* http://www.jstor.org/action/doBasicSearch?Query=
 
* http://dx.doi.org/
 
  
 
+
==메타데이터==
[[분류:미분방정식]]
+
===위키데이터===
 +
* ID :  [https://www.wikidata.org/wiki/Q1129902 Q1129902]
 +
===Spacy 패턴 목록===
 +
* [{'LOWER': 'linear'}, {'LOWER': 'differential'}, {'LEMMA': 'equation'}]

2021년 2월 17일 (수) 05:48 기준 최신판

개요

상수계수 이계 선형미분방정식

  • 미분방정식 \(ay''+by'+cy=0\)의 해는 2차원 벡터공간을 이루므로, 두 개의 선형독립인 해를 찾으면 된다.
  • 특성방정식 \(ax^2 + bx + c = 0 \)

특성방정식이 서로 다른 두 근 \(\alpha, \beta\)을 갖는 경우

함수 \(e^{\alpha t}\)와 \(e^{\beta t}\)는 선형독립인 두 해가 된다.

(두 함수의 론스키안(Wronskian) 은 \(e^{t (\alpha +\beta )} (-\alpha +\beta )\) 이다)


따라서 일반해는 그 선형결합 \(y(t) = Ae^{\alpha t} + Be^{\beta t}\) 꼴로 주어진다.


특성방정식이 중근 \(\alpha\)을 갖는 경우

함수 \(e^{\alpha t}\)와 \(te^{\beta t}\)는 선형독립인 두 해가 된다.

따라서 일반해는 그 선형결합 \(y(t) = Ae^{\alpha t} + Bte^{\alpha t}\) 꼴로 주어진다.


증명

\(ax^2 + bx + c = 0 \)가 중근 \(\alpha\)을 가지므로 \(a\alpha^2+b\alpha+c=0, 2a+b=0\)이다.

\(y(t) = te^{\alpha t}\) 라 하자.

\(y'(t) = (\alpha t+1)e^{\alpha t}\)

\(y''(t) = (\alpha^2 t+2\alpha)e^{\alpha t}\)

미분방정식에 대입하면,

\(ay''(t)+by'(t)+cy =\{a(\alpha^2 t+2\alpha)+b(\alpha t+1)+ct\}e^{\alpha t}=\{(a\alpha^2 +b\alpha+c)t+(2a \alpha +b)\}e^{\alpha t}=0\) ■



역사



메모

관련된 항목들

사전 형태의 자료

메타데이터

위키데이터

Spacy 패턴 목록

  • [{'LOWER': 'linear'}, {'LOWER': 'differential'}, {'LEMMA': 'eq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