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 이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피타고라스님이 이 페이지의 위치를 <a href="/pages/1946966">수학과 학부에서 배우는 또는 학부 수준의 과목들</a>페이지로 이동하였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h5>간단한 요약</h5>
 +
 +
*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정보의 송수신을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할 것인지의 문제
 +
* 유한체 위의 선형대수학
 +
 +
 
 +
 +
<h5>선수 과목 또는 알고 있으면 좋은 것들</h5>
 +
 +
* [[선형대수학]]<br>
 +
** symmetric bilinear forms
 +
** duality
 +
* [[추상대수학]]<br>
 +
** 유한체푸리에 변환
 +
* 포아송 summation formula
 +
 +
 
 +
 +
<h5>다루는 대상</h5>
 +
 +
* 코드
 +
* 코드의 weight enumerator
 +
 +
 
 +
 +
<h5>중요한 개념 및 정리</h5>
 +
 +
*  
 +
 +
 
 +
 +
<h5>유명한 정리 혹은 생각할만한 문제</h5>
 +
 +
 
 +
 +
 
 +
 +
<h5>다른 과목과의 관련성</h5>
 +
 +
 
 +
 +
 
 +
 +
<h5>관련된 대학원 과목 또는 더 공부하면 좋은 것들</h5>
 +
 +
* 정수계수 이차형식
 +
* Sphere packing
 +
 +
 
 +
 +
<h5>표준적인 교과서</h5>
 +
 +
 
 +
 +
 
 +
 +
<h5>추천도서 및 보조교재</h5>
 +
 +
 
 +
 +
 
 +
 +
<h5>참고할만한 자료</h5>
 +
 +
 
 +
 +
 
 +
 
* [http://www.jstor.org/stable/2317708 Coding Theory: A Counterexample to G. H. Hardy's Conception of Applied Mathematics]<br>
 
* [http://www.jstor.org/stable/2317708 Coding Theory: A Counterexample to G. H. Hardy's Conception of Applied Mathematics]<br>
 
** Norman Levinson
 
** Norman Levinson

2008년 10월 21일 (화) 17:00 판

간단한 요약
  •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정보의 송수신을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할 것인지의 문제
  • 유한체 위의 선형대수학

 

선수 과목 또는 알고 있으면 좋은 것들

 

다루는 대상
  • 코드
  • 코드의 weight enumerator

 

중요한 개념 및 정리
  •  

 

유명한 정리 혹은 생각할만한 문제

 

 

다른 과목과의 관련성

 

 

관련된 대학원 과목 또는 더 공부하면 좋은 것들
  • 정수계수 이차형식
  • Sphere packing

 

표준적인 교과서

 

 

추천도서 및 보조교재

 

 

참고할만한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