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우스 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1번째 줄: 11번째 줄:
  
 
==초등정수론의 가우스합==
 
==초등정수론의 가우스합==
* 정의
+
===정의===
 
* <math>p</math> 는 홀수인 소수.
 
* <math>p</math> 는 홀수인 소수.
 
* <math>a=1</math>이고 <math>\chi(t)=\left(\frac{t}{p}\right)</math> 일 때, 가우스합은 다음과 같이 주어짐
 
* <math>a=1</math>이고 <math>\chi(t)=\left(\frac{t}{p}\right)</math> 일 때, 가우스합은 다음과 같이 주어짐
24번째 줄: 24번째 줄:
 
<math>p \equiv 3 \pmod 4</math> 일 때, <math>g_1(\chi)=i\sqrt{p}</math>
 
<math>p \equiv 3 \pmod 4</math> 일 때, <math>g_1(\chi)=i\sqrt{p}</math>
  
 +
===또다른 정의===
 
* 위의 정의 대신 다음 정의를 사용하기도 함
 
* 위의 정의 대신 다음 정의를 사용하기도 함
 
+
:<math>\sum_{r=0}^{p-1} e^{2\pi i r^2/p}</math>
<math>\sum_{r=0}^{p-1} e^{2\pi i r^2/p}</math>
 
  
 
* 이 두 정의가 같음을 보이자
 
* 이 두 정의가 같음을 보이자
 
+
:<math>\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sum_{r=0}^{p-1} e^{2\pi i r^2/p}</math>
<math>\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sum_{r=0}^{p-1} e^{2\pi i r^2/p}</math>
 
  
 
(증명)
 
(증명)
 +
$A,B$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math>A=\sum_{a\in QR} \zeta^a=\frac{1}{2}\sum_{r=1}^{p-1} e^{2\pi i r^2/p} \label{AQR}</math>
 +
:<math>B=\sum_{a\in QNR} \zeta^a</math>
 +
다음이 성립한다
 +
:<math>A+B=-1 \label{sum}</math>
 +
:<math>A-B=\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 \label{diff}</math>
  
<math>A=\sum_{a\in QR} \zeta^a=\frac{1}{2}\sum_{r=1}^{p-1} e^{2\pi i r^2/p}</math>
+
\ref{sum}\ref{diff}의 양변을 더하여 다음을 얻는다
 
+
:<math>2A+1=\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math>
<math>B=\sum_{a\in QNR} \zeta^a</math> 라 두자.
 
 
 
<math>A+B=-1</math>
 
 
 
<math>A-B=\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math>
 
 
 
<math>2A+1=\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math>
 
  
한편,
+
한편, \ref{AQR}로부터,
 +
:<math>2A+1=\sum_{r=0}^{p-1} e^{2\pi i r^2/p}</math> 이므로,
 +
:<math>\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sum_{r=0}^{p-1} e^{2\pi i r^2/p}</math> 를 얻는다.■
  
<math>2A+1=\sum_{r=0}^{p-1} e^{2\pi i r^2/p}</math> 이므로,
+
===일반화===
 
+
*  소수가 아닌 모든 자연수 <math>M</math>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음
<math>\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sum_{r=0}^{p-1} e^{2\pi i r^2/p}</math> 를 얻는다.■
+
:<math>G(M) := \sum_{r=0}^{M-1} e^{2\pi i r^2/M}</math>
 
 
*  소수가 아닌 모든 자연수 <math>M</math>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음:<math>G(M) := \sum_{r=0}^{M-1} e^{2\pi i r^2/M}</math>
 
 
<math>M \equiv 1 \pmod 4</math> 일 때, <math>G(M)=\sqrt{M}</math>
 
<math>M \equiv 1 \pmod 4</math> 일 때, <math>G(M)=\sqrt{M}</math>
  
80번째 줄: 78번째 줄:
 
* 유한아벨군 위에 정의된 [[푸리에 변환]] 으로 이해할 수 있음
 
* 유한아벨군 위에 정의된 [[푸리에 변환]] 으로 이해할 수 있음
 
* <math>a\in (\mathbb Z/f \mathbb Z)^{*}</math>와 준동형사상 <math>\chi \colon (\mathbb Z/f\mathbb Z)^{*} \to \mathbb C^{*}</math>에 대하여 가우스합을 다음과 같이 정의함
 
* <math>a\in (\mathbb Z/f \mathbb Z)^{*}</math>와 준동형사상 <math>\chi \colon (\mathbb Z/f\mathbb Z)^{*} \to \mathbb C^{*}</math>에 대하여 가우스합을 다음과 같이 정의함
 
+
:<math>g_a(\chi) := \sum_{(t,f)=1} \chi(t) e^{2 \pi i a t/f}=\sum_{(t,f)=1} \chi(t) \zeta^{a t}</math>
<math>g_a(\chi) := \sum_{(t,f)=1} \chi(t) e^{2 \pi i a t/f}=\sum_{(t,f)=1} \chi(t) \zeta^{a t}</math>
 
  
 
여기서 <math> \zeta = e^{2\pi i/f}</math>
 
여기서 <math> \zeta = e^{2\pi i/f}</math>
  
* <math>a=1</math>이고 <math>\chi(t)=$\left(\frac{t}{p}\right)</math> 일 때, 맨 처음에 정의한 가우스합을 다시 얻게 됨<br>
+
* <math>a=1</math>이고 <math>\chi(t)=\left(\frac{t}{p}\right)</math> 일 때, 맨 처음에 정의한 가우스합을 다시 얻게 됨<br>
  
 
 
 
 
92번째 줄: 89번째 줄:
  
 
(정리)
 
(정리)
 
+
:<math>g_a(\chi) = \chi(a^{-1}) g_1(\chi)=\bar\chi(a)g_1(\chi)</math>
<math>g_a(\chi) = \chi(a^{-1}) g_1(\chi)=\bar\chi(a)g_1(\chi)</math>
+
:<math>\chi(n)=\frac{1}{N}\sum_{(a,N)=1}g_a(\chi)e^{-2\pi i n a/N}</math>
 
 
<math>\chi(n)=\frac{1}{N}\sum_{(a,N)=1}g_a(\chi)e^{-2\pi i n a/N}</math>
 
  
 
 
 
 
223번째 줄: 218번째 줄:
  
 
* https://docs.google.com/leaf?id=0B8XXo8Tve1cxNjE2MTliMzMtYzk5Ni00M2YyLTkwYzctMjVkYjJiNzkwNTNk&sort=name&layout=list&num=50
 
* https://docs.google.com/leaf?id=0B8XXo8Tve1cxNjE2MTliMzMtYzk5Ni00M2YyLTkwYzctMjVkYjJiNzkwNTNk&sort=name&layout=list&num=50
* http://www.wolframalpha.com/input/?i=
 
* http://functions.wolfram.com/
 
* [http://dlmf.nist.gov/ NIST Digital Library of Mathematical Functions]
 
* [http://www.research.att.com/%7Enjas/sequences/index.html The On-Line Encyclopedia of Integer Sequences]
 
* [http://numbers.computation.free.fr/Constants/constants.html Numbers, constants and computation]
 
 
* [[매스매티카 파일 목록]]
 
 
 
 
 
 
 
 
 
  
241번째 줄: 226번째 줄:
 
* [http://www.amazon.com/Classical-Introduction-Modern-Graduate-Mathematics/dp/038797329X A Classical Introduction to Modern Number Theory](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v. 84)<br>
 
* [http://www.amazon.com/Classical-Introduction-Modern-Graduate-Mathematics/dp/038797329X A Classical Introduction to Modern Number Theory](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v. 84)<br>
 
** Kenneth Ireland, Michael Rosen
 
** Kenneth Ireland, Michael Rosen
*  도서내검색<br>
 
** http://books.google.com/books?q=
 
** http://book.daum.net/search/contentSearch.do?query=
 
*  도서검색<br>
 
** http://www.amazon.com/s/ref=nb_ss_gw?url=search-alias%3Dstripbooks&field-keywords=
 
** http://book.daum.net/search/mainSearch.do?query=
 
 
 
 
  
 
 
 
 
272번째 줄: 249번째 줄:
 
* http://en.wikipedia.org/wiki/Quadratic_Gauss_sum
 
* http://en.wikipedia.org/wiki/Quadratic_Gauss_sum
  
 
 
 
 
 
  
==블로그==
 
  
* 구글 블로그 검색 [http://blogsearch.google.com/blogsearch?q=%EA%B0%80%EC%9A%B0%EC%8A%A4%ED%95%A9 http://blogsearch.google.com/blogsearch?q=가우스합]
+
[[분류:정수론]]
* 트렌비 블로그 검색 http://www.trenb.com/search.qst?q=
 

2013년 3월 15일 (금) 03:46 판

개요

 

 

초등정수론의 가우스합

정의

  • \(p\) 는 홀수인 소수.
  • \(a=1\)이고 \(\chi(t)=\left(\frac{t}{p}\right)\) 일 때, 가우스합은 다음과 같이 주어짐

\[g_1(\chi) := \sum_{a \in \mathbb Z/p\mathbb Z} \left(\frac{a}{p}\right)e^{2 \pi i a/p}=\sum_{a \in \mathbb Z/p\mathbb Z} \left(\frac{a}{p}\right) \zeta^a=\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

(정리)

홀수인 소수 \(p\)에 대하여 가우스합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p \equiv 1 \pmod 4\) 일 때, \(g_1(\chi)=\sqrt{p}\)

\(p \equiv 3 \pmod 4\) 일 때, \(g_1(\chi)=i\sqrt{p}\)

또다른 정의

  • 위의 정의 대신 다음 정의를 사용하기도 함

\[\sum_{r=0}^{p-1} e^{2\pi i r^2/p}\]

  • 이 두 정의가 같음을 보이자

\[\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sum_{r=0}^{p-1} e^{2\pi i r^2/p}\]

(증명) $A,B$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A=\sum_{a\in QR} \zeta^a=\frac{1}{2}\sum_{r=1}^{p-1} e^{2\pi i r^2/p} \label{AQR}\] \[B=\sum_{a\in QNR} \zeta^a\] 다음이 성립한다 \[A+B=-1 \label{sum}\] \[A-B=\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 \label{diff}\]

\ref{sum}과 \ref{diff}의 양변을 더하여 다음을 얻는다 \[2A+1=\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

한편, \ref{AQR}로부터, \[2A+1=\sum_{r=0}^{p-1} e^{2\pi i r^2/p}\] 이므로, \[\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sum_{r=0}^{p-1} e^{2\pi i r^2/p}\] 를 얻는다.■

일반화

  • 소수가 아닌 모든 자연수 \(M\)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음

\[G(M) := \sum_{r=0}^{M-1} e^{2\pi i r^2/M}\] \(M \equiv 1 \pmod 4\) 일 때, \(G(M)=\sqrt{M}\)

\(M \equiv 2 \pmod 4\) 일 때, \(G(M)=0\)

\(M \equiv 3 \pmod 4\) 일 때, \(G(M)=i\sqrt{M}\)

\(M \equiv 0 \pmod 4\) 일 때, \(G(M)=(1+i)\sqrt{M}\)

 

 

가우스합 S(p,q)와 상호법칙

  • \(pq\)가 짝수인 자연수p,q에 대하여 다음을 정의\[S(p,q)=\sum_{r=0}^{q-1} e^{\pi i pr^2/q}\]
  • \(p=2\)로 두면 위에서 정의한 가우스합을 다시 얻게 된다\[S(2,q)=G(q)\]
  • 성질\[S(ap,aq)=S(ap,aq)\]\[S(a^2p,q)=S(p,q)\]\[S(ap,q)=\left(\frac{a}{q}\right) S(p,q)\]
  • 자코비 세타함수의 cusp에서의 변화를 기술할 때 사용될 수 있음.
  • 가우스합의 상호법칙
    자연수p,q에 대하여 \(pq\)가 짝수라고 하자. 다음이 성립한다.\[\sqrt{q}\overline{S(q,p)}=e^{-\pi i/4}\sqrt{p}S(p,q)\]
    증명은 자코비 세타함수 항목을 참조

 

 

디리클레 캐릭터와 가우스합

  • 더 일반적인 가우스합을 정의할 수 있음
  • 유한아벨군 위에 정의된 푸리에 변환 으로 이해할 수 있음
  • \(a\in (\mathbb Z/f \mathbb Z)^{*}\)와 준동형사상 \(\chi \colon (\mathbb Z/f\mathbb Z)^{*} \to \mathbb C^{*}\)에 대하여 가우스합을 다음과 같이 정의함

\[g_a(\chi) := \sum_{(t,f)=1} \chi(t) e^{2 \pi i a t/f}=\sum_{(t,f)=1} \chi(t) \zeta^{a t}\]

여기서 \( \zeta = e^{2\pi i/f}\)

  • \(a=1\)이고 \(\chi(t)=\left(\frac{t}{p}\right)\) 일 때, 맨 처음에 정의한 가우스합을 다시 얻게 됨

 

 

(정리) \[g_a(\chi) = \chi(a^{-1}) g_1(\chi)=\bar\chi(a)g_1(\chi)\] \[\chi(n)=\frac{1}{N}\sum_{(a,N)=1}g_a(\chi)e^{-2\pi i n a/N}\]

 

(정리)

primitive인 준동형사상 \(\chi \colon (\mathbb Z/f\mathbb Z)^{*} \to \mathbb C^{*}\)에 대하여, 가우스합은 다음을 만족시킴

\(\tau(\chi)=g_1(\chi)\)라 두면, \(|\tau(\chi)|=\sqrt{f}\)

 

(정리)

실수값을 갖는 primitive character \(\chi \colon (\mathbb Z/f\mathbb Z)^{*} \to \mathbb C^{*}\)에 대해서 다음이 성립한다.

\(\chi(-1)=1\)일때,  \(\tau(\chi)=\sqrt{f}\)

\(\chi(-1)=-1\)일 때,  \(\tau(\chi)=i\sqrt{f}\)

 

 

 

이차잉여 character의 경우

\(q \geq 2\) 는 소수라 가정하자.

 

\(K=\mathbb{Q}(\sqrt{-q})\), \(q \geq 3\) , \(q \equiv 3 \pmod{4}\) 인 경우

\(d_K=-q\), \((\mathbb Z/q \mathbb Z)^{*}\)

\(\chi(a)=\left(\frac{a}{q}\right)\)

\(\chi(-1)=-1\), \(\tau(\chi)=i\sqrt{q}\)

 

 

 \(K=\mathbb{Q}(\sqrt{q})\) , \(q \geq 5\),   \(q \equiv 1 \pmod{4}\) 인 경우

\(d_K=q\), \((\mathbb Z/q \mathbb Z)^{*}\)

\(\chi(a)=\left(\frac{a}{q}\right)\)

\(\chi(-1)=1\), \(\tau(\chi)=\sqrt{q}\)

 

 

\(K=\mathbb{Q}(\sqrt{-q})\)  , \(q \geq 1\) ,  \(q \equiv 1 \pmod{4}\) 인 경우

\(d_K=-4q\), \((\mathbb Z/4q \mathbb Z)^{*}\)

\(n\in \mathbb{Z}\), \((n,4q)=1\) 에 대해서는

\(\chi(n)=(-1)^{\frac{n-1}{2}}\left(\frac{n}{q}\right)\)

\(\chi(-1)=-1\), \(\tau(\chi)=2i\sqrt{q}\)

 

 

 

 \(K=\mathbb{Q}(\sqrt{q})\) , \(q \geq 3\),   \(q \equiv 3 \pmod{4}\) 인 경우

\(d_K=4q\), \((\mathbb Z/4q \mathbb Z)^{*}\)

 

일반적인\(n\in \mathbb{Z}\), \((n,4q)=1\) 에 대해서는

\(\chi(n)=(-1)^{\frac{n-1}{2}}\left(\frac{n}{q}\right)\)

\(\chi(-1)=1\), \(\tau(\chi)=2\sqrt{q}\)

 

 

정17각형의 작도 문제의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가우스합

  • \(\zeta=e^{2\pi i \over 17}\)  로 두자. 이 값을 대수적으로 구하는 것이 목표.
  • \((3^1, 3^2,3^3, 3^4, 3^5, 3^7, 3^8, 3^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equiv (3, 9, 10, 13, 5, 15, 11, 16, 14, 8, 7, 4,12, 2, 6, 1) \pmod {17}\)
  • 이 순서대로 2로 나눈 나머지에 따라서 분류
    • \(A_0 = \zeta^{9} + \zeta^{13} + \zeta^{15} + \zeta^{16}+\zeta^{8} + \zeta^{4} + \zeta^{2} +\zeta^{1}\)
    • \(A_1 = \zeta^3 + \zeta^{10} + \zeta^{5} + \zeta^{11}+\zeta^{14} + \zeta^{7} + \zeta^{12} +\zeta^{6}\)
    • \(A_0+A_1= -1\) 임은 쉽게 알 수 있음
    • \(A_0-A_1\) 는 가우스합이므로 \(A_0-A_1=\sqrt{17}\)
    • \(A_0 = \frac{-1 + \sqrt{17}}{2}\) , \(A_1= \frac{-1 - \sqrt{17}}{2}\)

 

메모

\(\sqrt{y}\theta(\frac{p}{q}+iy)\sim \frac{1}{q}S(p,q)\)

 

 

관련된 항목들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관련도서

 

관련논문과 에세이

 

 

사전 형태의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