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탄젠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ythagoras0 (토론 | 기여) |
Pythagoras0 (토론 | 기여) |
||
46번째 줄: | 46번째 줄: | ||
* 다음의 극한값을 갖는다 | * 다음의 극한값을 갖는다 | ||
:<math>\lim_{M\to \infty}\cot (x+iM)=-i</math> | :<math>\lim_{M\to \infty}\cot (x+iM)=-i</math> | ||
− | * <math>\cot (\pi z)</math>는 원점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math>R=n+1/2</math> 인 원 위에서 유계이며, 이 때 특별히 | + | * <math>\cot (\pi z)</math>는 원점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math>R=n+1/2</math> 인 원 위에서 유계이며, 이 때 특별히 <math>0\leq \left|\cot \left(\pi R e^{i t}\right)\right |^2\leq 2</math> 가 성립함. (<math>n\in \mathbb{N}</math>, <math>t\in \mathbb{R}</math>) |
106번째 줄: | 106번째 줄: | ||
==관련된 고교수학 또는 대학수학== | ==관련된 고교수학 또는 대학수학== | ||
− | * [[삼각함수]] | + | * [[삼각함수]] |
114번째 줄: | 114번째 줄: | ||
==관련된 항목들== | ==관련된 항목들== | ||
− | * [[데데킨트 합]] | + | * [[데데킨트 합]] |
− | * [[베르누이 수|베르누이 수와 베르누이 다항식]] | + | * [[베르누이 수|베르누이 수와 베르누이 다항식]] |
− | * [[아이젠슈타인 급수(Eisenstein series)]] | + | * [[아이젠슈타인 급수(Eisenstein series)]] |
− | * [[ζ(4)와 슈테판-볼츠만 법칙]] | + | * [[ζ(4)와 슈테판-볼츠만 법칙]] |
− | * [[로그 사인 적분 (log sine integrals)]] | + | * [[로그 사인 적분 (log sine integrals)]] |
2020년 11월 13일 (금) 00:20 판
개요
- 삼각함수 의 하나
- 주기가 \(\pi\)인 주기함수
- 정의 \[\cot x = \frac{\cos x}{\sin x} \]
- 복소함수로서의 유용한 성질은 데데킨트 합 , 왓슨 변환(Watson transform) 등에 이용할 수 있다
함수의 그래프
미분과 적분
- 미분 \[\frac{d}{dx}\cot x= -\csc^2 x \]
- 부정적분 \[\int \cot x dx = \log \sin x+C\]
코탄젠트의 테일러급수
\(\cot x = \frac {1} {x} - \frac {x}{3} - \frac {x^3} {45} - \frac {2 x^5} {945} - \cdots = \sum_{n=0}^\infty \frac{(-1)^n 2^{2n} B_{2n} x^{2n-1}}{(2n)!}\)
\(\pi x\cot \pi x =-2 \sum_{n=0}^\infty \zeta(2n)x^{2n}\)
복소함수 코탄젠트의 유용한 성질
- \(\cot (\pi z)\) 는 정수점에서 simple pole 을 가지며, residue 는 \(z={1}/{\pi}\)이다.
- 다음의 극한값을 갖는다
\[\lim_{M\to \infty}\cot (x+iM)=-i\]
- \(\cot (\pi z)\)는 원점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R=n+1/2\) 인 원 위에서 유계이며, 이 때 특별히 \(0\leq \left|\cot \left(\pi R e^{i t}\right)\right |^2\leq 2\) 가 성립함. (\(n\in \mathbb{N}\), \(t\in \mathbb{R}\))
코탄젠트의 부분분수 전개
\(\pi \cot \pi\tau=\frac{1}{\tau}+\sum_{m\neq0}\frac{1}{\tau+m}-\frac{1}{m}\)
코탄젠트의 푸리에급수
\(\cot \pi\tau=-i (1+2\sum_{r=1}^{\infty}e^{2\pi i r \tau})\)
(증명)
\(\cot \pi\tau=\frac{\cos \pi\tau}{\sin\pi\tau}=i \frac{e^{i\pi\tau}+e^{-i\pi\tau}}{e^{i\pi\tau}-e^{-i\pi\tau}}=i \frac{e^{2\pi i \tau}+1}{e^{2\pi i \tau}-1}\)
\(q=e^{2\pi i \tau}\) 로 두자.
\(\pi i \frac{q+1}{q-1}=\pi i (\frac{q}{q-1}+\frac{1}{q-1})=-\pi i (\sum_{r=1}^{\infty}q^r+\sum_{r=0}^{\infty}q^r)=-\pi i (1+2\sum_{r=1}^{\infty}q^r)\)■
(따름정리)
코탄젠트의 푸리에급수와 부분분수 전개를 비교하여, 다음을 얻는다.
\(\frac{1}{\tau}+\sum_{m\neq0}\frac{1}{\tau+m}-\frac{1}{m} = -\pi i (1+2\sum_{r=1}^{\infty}e^{2\pi i r \tau})\)
정적분
\[\int_{0}^{\frac{\pi}{2}} x\cot x dx =- \int_{0}^{\frac{\pi}{2}}\ln (\sin t)dt =\frac{\pi}{2}\ln 2\] \[\int_{0}^{\frac{\pi}{2}} x^2\cot x dx = -2\int_{0}^{\frac{\pi}{2}}x \ln (\sin x)dx=\frac{\pi^2}{4}\ln 2-\frac{7}{8} \zeta(3)\] \[\int_{0}^{\frac{\pi}{2}} x^3\cot x dx = -3\int_{0}^{\frac{\pi}{2}}x^2 \ln (\sin x)dx=\frac{\pi^3}{8}\ln 2-\frac{9}{16} \zeta(3)\] \[\int_{0}^{\frac{\pi}{4}} x\cot x dx =\frac{G}{2}+\frac{\pi}{8}\log 2\] \[\int_{0}^{\frac{\pi}{4}} x^2\cot x dx =-\frac{35}{64}\zeta(3)+\frac{\pi G}{4}+\frac{\pi^2}{32}\log 2\] 여기서 G는 카탈란 상수)
역사
관련된 고교수학 또는 대학수학
관련된 항목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