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소함수와 리만곡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81번째 줄: 81번째 줄:
 
* [http://kms.or.kr/home/kor/board/bulletin_list_subject.asp?bulletinid=%7BD6048897-56F9-43D7-8BB6-50B362D1243A%7D&boardname=%BC%F6%C7%D0%BF%EB%BE%EE%C5%E4%B7%D0%B9%E6&globalmenu=7&localmenu=4 대한수학회 수학용어한글화 게시판]
 
* [http://kms.or.kr/home/kor/board/bulletin_list_subject.asp?bulletinid=%7BD6048897-56F9-43D7-8BB6-50B362D1243A%7D&boardname=%BC%F6%C7%D0%BF%EB%BE%EE%C5%E4%B7%D0%B9%E6&globalmenu=7&localmenu=4 대한수학회 수학용어한글화 게시판]
 
[[분류:리만곡면론]]
 
[[분류:리만곡면론]]
 +
[[분류:복소함수론]]

2013년 6월 24일 (월) 03:45 판


개요

  • 학부의 복소함수론은 복소평면 \(\mathbb{C}\) 의 부분집합에서 전개
  • 더 일반적으로 리만곡면 위에서 복소함수론을 전개할 수 있음
  • 타원함수타원적분 이론의 발전에서 큰 영향
  • 수학과 학부에서 배우게 되는 표준적인 커리큘럼으로는 19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의 복소해석학의 중요한 발전을 제대로 이해하기 어려움.



하위페이지




메모



관련된 학부 과목과 미리 알고 있으면 좋은 것들


관련된 대학원 과목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