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미분방정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번째 줄: 2번째 줄:
  
 
* <math>M(x, y) + N(x, y)y' = 0</math> 꼴의 미분방정식
 
* <math>M(x, y) + N(x, y)y' = 0</math> 꼴의 미분방정식
* <math>M(x, y)\, dx + N(x, y)\, dy = 0</math> 형태로 쓸 수 있으며,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완전미분방정식이라 부름:<math>\frac{\partial M}{\partial y}(x, y) = \frac{\partial N}{\partial x}(x, y)</math><br>
+
* <math>M(x, y)\, dx + N(x, y)\, dy = 0</math> 형태로 쓸 수 있으며,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완전미분방정식이라 부름:<math>\frac{\partial M}{\partial y}(x, y) = \frac{\partial N}{\partial x}(x, y)</math>
 
* 푸앵카레 보조정리
 
* 푸앵카레 보조정리
 
* 호몰로지 대수의 흔적
 
* 호몰로지 대수의 흔적
12번째 줄: 12번째 줄:
 
==해가 존재할 조건==
 
==해가 존재할 조건==
  
* <math>\operatorname{grad}(\phi) = \nabla \phi=(M,N)</math> 을 만족하는 함수가 존재하는 경우:<math>\frac{d}{dx}\phi(x,y) = \frac{\partial \phi}{\partial x}+\frac{\partial \phi}{\partial y}\frac{dy}{dx}=M+Ny=0</math><br>
+
* <math>\operatorname{grad}(\phi) = \nabla \phi=(M,N)</math> 을 만족하는 함수가 존재하는 경우:<math>\frac{d}{dx}\phi(x,y) = \frac{\partial \phi}{\partial x}+\frac{\partial \phi}{\partial y}\frac{dy}{dx}=M+Ny=0</math>
*  국소적인 해가 존재할 필요충분조건:<math>\frac{\partial M}{\partial y}(x, y) = \frac{\partial N}{\partial x}(x, y)</math><br>
+
*  국소적인 해가 존재할 필요충분조건:<math>\frac{\partial M}{\partial y}(x, y) = \frac{\partial N}{\partial x}(x, y)</math>
*  이는 [[미분연산자]] 가 만족시키는 조건 <math>\nabla \times (\nabla f)=0</math> 으로 설명가능<br>
+
*  이는 [[미분연산자]] 가 만족시키는 조건 <math>\nabla \times (\nabla f)=0</math> 으로 설명가능
  
 
 
 
 
52번째 줄: 52번째 줄:
  
 
* http://www.google.com/dictionary?langpair=en|ko&q=
 
* http://www.google.com/dictionary?langpair=en|ko&q=
* [http://mathnet.kaist.ac.kr/mathnet/math_list.php?mode=list&ftype=&fstr= 대한수학회 수학 학술 용어집]<br>
+
* [http://mathnet.kaist.ac.kr/mathnet/math_list.php?mode=list&ftype=&fstr= 대한수학회 수학 학술 용어집]
 
** http://mathnet.kaist.ac.kr/mathnet/math_list.php?mode=list&ftype=eng_term&fstr=
 
** http://mathnet.kaist.ac.kr/mathnet/math_list.php?mode=list&ftype=eng_term&fstr=
 
* [http://kms.or.kr/home/kor/board/bulletin_list_subject.asp?bulletinid=%7BD6048897-56F9-43D7-8BB6-50B362D1243A%7D&boardname=%BC%F6%C7%D0%BF%EB%BE%EE%C5%E4%B7%D0%B9%E6&globalmenu=7&localmenu=4 대한수학회 수학용어한글화 게시판]
 
* [http://kms.or.kr/home/kor/board/bulletin_list_subject.asp?bulletinid=%7BD6048897-56F9-43D7-8BB6-50B362D1243A%7D&boardname=%BC%F6%C7%D0%BF%EB%BE%EE%C5%E4%B7%D0%B9%E6&globalmenu=7&localmenu=4 대한수학회 수학용어한글화 게시판]

2020년 11월 13일 (금) 09:51 판

개요

  • \(M(x, y) + N(x, y)y' = 0\) 꼴의 미분방정식
  • \(M(x, y)\, dx + N(x, y)\, dy = 0\) 형태로 쓸 수 있으며,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완전미분방정식이라 부름\[\frac{\partial M}{\partial y}(x, y) = \frac{\partial N}{\partial x}(x, y)\]
  • 푸앵카레 보조정리
  • 호몰로지 대수의 흔적

 

 

해가 존재할 조건

  • \(\operatorname{grad}(\phi) = \nabla \phi=(M,N)\) 을 만족하는 함수가 존재하는 경우\[\frac{d}{dx}\phi(x,y) = \frac{\partial \phi}{\partial x}+\frac{\partial \phi}{\partial y}\frac{dy}{dx}=M+Ny=0\]
  • 국소적인 해가 존재할 필요충분조건\[\frac{\partial M}{\partial y}(x, y) = \frac{\partial N}{\partial x}(x, y)\]
  • 이는 미분연산자 가 만족시키는 조건 \(\nabla \times (\nabla f)=0\) 으로 설명가능

 

 

적분인자

 

 

 

일계선형미분방정식에의 응용

\[\frac{dy}{dt}+a(t)y=b(t)\]

 


 

메모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사전 형태의 자료

 

관련논문